기본
강제집행을 피해 안전하게 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주려면?
황태자의 사색
2022. 3. 17. 09:51
728x90
강제집행을 피해 안전하게 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주려면?
입력 2022.03.17 09:27 수정 2022.03.17 09:33
김상훈 변호사의 상속 인사이드 (16)

김상훈 법무법인 가온 대표변호사
신탁재산의 독립성을 이용하면 부모의 신용악화와 상관 없이 재산을 안전하게 자녀에게 물려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아버지가 재산을 신탁하면서 자녀를 수익자로 지정한 후 아버지가 채무초과 상태가 되거나 파산을 하더라도 신탁재산은 안전하게 지킬 수 있다.
그렇다면 아버지가 아들을 수익자로 하여 부동산을 신탁했는데, 아버지에게 언제든지 신탁의 내용을 변경하거나 종료시킬 수 있는 권한이 있는 경우에는 어떨까? 이런 경우에는 사실상 그 신탁재산이 위탁자의 책임재산이 된다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이다. 즉 신탁이 존속하는 동안 위탁자가 언제든지 신탁계약을 종료시키고 신탁계약에서 정한 절차에 따라 위탁자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칠 수 있다는 것이 합리적으로 긍정되는 경우에는 위탁자의 신탁부동산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이 위탁자의 일반 채권자들에게 공동담보로 제공되는 책임재산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대법원 2021. 6. 10. 선고 2017다254891 판결).
그러나 신탁계약상 신탁부동산을 처분하는 데 수익권자의 동의를 받도록 정해진 경우에는 그 처분에 관하여 수익권자의 동의를 받거나 받을 수 있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위탁자가 신탁을 종료시키고 위탁자 앞으로 신탁부동산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위탁자의 신탁부동산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은 실질적으로 재산적 가치가 없어 채권의 공동담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으므로 그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위탁자의 적극재산에 포함시킬 수 없다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이다(대법원 2021. 6. 10. 선고 2017다254891 판결). 따라서 위탁자가 자신의 채권자로부터 재산을 안전하게 지켜서 자녀에게 물려주기 위해서는, 위탁자가 신탁재산을 처분할 때 수익자의 동의를 받도록 하는 규정을 신탁계약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법무법인 가온 변호사, 법학박사 김상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