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트위터 최대주주 된 일론 머스크… 게시물 관리 중단시킬까

황태자의 사색 2022. 4. 6. 11:19
728x90

트위터 최대주주 된 일론 머스크… 게시물 관리 중단시킬까

평소 가짜뉴스·혐오물 삭제에
“표현의 자유 정신에 위배” 비판

입력 2022.04.06 03:00
 
 
 
 
 

“트위터를 통해 언론과 콘텐츠, 디지털 검열 방식에 직접 영향을 미치려는 시도.”

일론 머스크가 소셜미디어(SNS) 트위터의 최대 주주에 등극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4일(현지 시각) 미국 LA타임스는 머스크의 행보를 이렇게 평가했다. 테슬라·스페이스X의 최고경영자(CEO)인 머스크는 이날 미 SEC(증권거래위원회)에 “지난 3월 14일 기준 트위터 주식 7348만6938주(9.2%)를 보유하고 있다”고 신고했다. 글로벌 투자회사 뱅가드(8.79%)를 제치고 트위터의 최대 주주가 된 것이다. 작년 11월 경영일선에서 물러난 잭 도시 트위터 창업자의 보유 지분(2.3%)의 4배다. 4일 기준 4조4500억원의 가치다.

그래픽=송윤혜

일론 머스크는 자신의 일상과 각종 생각을 하루에도 10여 개씩 트위터에 올리는 ‘헤비유저(열성적 사용자)’로 8030만명의 팔로어를 갖고 있다. 그는 평소 가짜 뉴스, 혐오 게시물을 삭제하고 관련 계정을 차단하는 트위터에 대해 “표현의 자유와 민주주의 정신을 위배했다”고 비판했다. 그런 그가 최대 주주가 되면서 트위터는 변화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날 트위터 주가는 전날보다 27.13% 폭등했다.

◇왜 인수했나

머스크는 트위터 지분을 왜 사들였는지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다. 머스크는 4일 자신의 트위터에 “오 하이 lol(웃는 모습)”라는 글만 남겼다. 그는 표면적으론 트위터 경영에 개입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SEC에 ‘회사를 통제할 의도가 없는 수동적 투자자’ 형식으로 트위터 지분 인수 사실을 신고했다.

하지만 테크 업계와 미 증권가는 이를 믿지 않는다. 에릭 로스 캐선드증권 애널리스트는 “일론 머스크에게 수동적 투자라는 말은 없다”며 “그는 분명히 소매를 걷어올릴 것”이라고 했다. 스티븐 다비도프 솔로몬 UC버클리 교수는 “수동적 투자자로 신고한 후 경영에 개입하는 것은 명백한 사기지만, 이것을 입증하기는 어렵고 기소되는 경우도 거의 없다”고 했다.

테크 업계에선 머스크가 설령 가짜 뉴스나 과격한 발언이라도 표현의 자유가 100% 보장된 SNS를 만들기 위해 트위터 지분을 인수한 것으로 본다. 트위터는 혐오 게시물과 가짜 뉴스 등을 검열하는 대표적 SNS다.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도 작년 1월 미 국회의사당 내 폭력을 선동했다는 이유로 트위터 계정이 영구 차단됐다.

 

머스크는 벌써 움직이고 있다. 트위터 지분 인수 후인 지난 25일 자신의 트위터에 “언론의 자유는 민주주의의 필수 요소다. 당신은 트위터가 이 원칙을 준수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설문조사를 진행했고, 지난 26일엔 “표현의 자유를 우선시하는 SNS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머스크의 행보가 가짜 뉴스와 혐오 게시물을 확산하는 부작용을 낳을 것이라고 우려한다. 워싱턴포스트는 “트위터 내부에선 머스크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된 계정을 차단하던 기존 정책을 변경하고 표현의 자유를 우선시하는 쪽으로 밀어붙일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고 했다.

◇현 경영진과 충돌 가능성

증권가에선 머스크가 트위터 경영에 개입하면서 현재 트위터 운영진과 갈등을 빚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트위터는 작년 11월 창업자인 잭 도시가 물러나고 파라그 아그라왈이 새 CEO가 됐다. 파라그 아그라왈은 비트코인을 넘어 대체불가능토큰(NFT) 등 최신 블록체인 기반 기술을 트위터에 적용하려고 하는데, 머스크는 이에 대해 부정적이다. 지난 1월 트위터가 사용자 프로필을 NFT로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자, 머스크는 “이건 짜증 난다”며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4일엔 트위터가 반대해온 ‘메시지 편집 기능’이 필요한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자신의 트위터에 진행했다. 일각에선 최대 주주를 차지한 머스크가 현 트위터 집행부를 물갈이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국내 투자자들 사이에서 ‘돈나무 언니’로 불리는 캐시우드 아크인베스트먼트 CEO는 “머스크가 아그라왈 CEO에게 강력한 신호를 보내고 있다. 리더십 교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머스크의 트위터 개입은 미 정치권과의 갈등을 일으키고, 머스크가 운영하는 전기차 업체 테슬라와 민간 우주여행 업체 스페이스X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 정부는 소셜미디어가 가짜 뉴스, 혐오 게시물 등을 더 강력하게 관리하도록 요구한다. 머스크가 표현의 자유를 주장하며 이를 거부할 경우 머스크와 미 정치권의 갈등이 심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