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한참을 넋놓고 '얼굴' 바라봤다…나도 모르게 미소 짓고 있었다
황태자의 사색
2022. 6. 17. 09:01
728x90
한참을 넋놓고 '얼굴' 바라봤다…나도 모르게 미소 짓고 있었다
입력 2022.06.16 16:32 수정 2022.06.17 02:38 지면 A21
오늘도 미술관
행복을 그리는 화가 에바 앨머슨
한국서 40만 관객 모은 스페인 화가
3년만에 '53년 회고展'으로 돌아와
12월 4일까지 용산전쟁기념관에서
작품마다 '하트 모양 심장'
사람에게 무조건적 사랑 주란 의미
혼자만의 시간 필요한 사람이 가면
잊고 살았던 포근한 기억 찾아올 것
행복을 그리는 화가 에바 앨머슨
한국서 40만 관객 모은 스페인 화가
3년만에 '53년 회고展'으로 돌아와
12월 4일까지 용산전쟁기념관에서
작품마다 '하트 모양 심장'
사람에게 무조건적 사랑 주란 의미
혼자만의 시간 필요한 사람이 가면
잊고 살았던 포근한 기억 찾아올 것

여성의 삶을 녹여낸 ‘일러스트’
가장 처음 관람객을 맞이하는 작품은 ‘가슴으로 바라보기’입니다. 두 손을 심장에 얹은 채 당당히 정면을 바라보는 여인. 그는 두려움 없이 감정을 마주하기 위해서는 ‘속임수 없는 진실된 시선’과 ‘따뜻한 마음’으로 봐야 한다고 말합니다. 일러스트 속 그의 그림은 마치 5살 난 아이가 그린 듯 동심이 묻어납니다.이런 화풍을 ‘소박파’로 부릅니다. 원근법, 명암, 구도, 색조 등 기존의 화법에 구애받지 않고 느끼는 대로 표현하는 화가들을 일컫습니다. 그래서인지 그의 그림은 어딘가 둥둥 떠 있는 것 같은 자유분방한 느낌을 줍니다.
광고
그는 통증과 강박을 거리 둔 채 조용히 바라봅니다. 남편과 나란히 선 자신의 모습을 그린 ‘Walk’ 속 부부는 주눅 들거나, 눈치를 보지 않고 자신의 모습 그대로 정면을 응시하고 있습니다. 고통에 자기 자신을 가두지 않고 흘려보내는 것. 지나가는 모든 순간은 결국 소중하고 기억하고 싶은 것들이 됨을 말합니다.
사랑이 삶을 구한다
그의 그림에서 빠지지 않는 것이 있습니다. 하트 모양의 작은 심장입니다. 어떨 땐 붉은 실이 되고, 타오르는 불꽃이 되고, 작은 새가 날아드는 둥지가 됩니다. ‘내가 줄 수 있는 것’에서 그는 커다란 하트를 든 채 무수히 많은 작은 하트에 파묻혀 있습니다. 그는 말합니다.

에바 앨머슨 ‘사랑’(2021)
행복해서 웃는다? ‘웃으면 행복해진다’
그의 그림 한 귀퉁이에는 다양한 글귀가 깨알처럼 들어가 있습니다. 그의 곱슬 머리카락을 닮은 구불구불한 서체는 정직한 문구를 담기도 하지만, 때로는 관객에게 말장난도 걸어옵니다. ‘두둥실’ 그림 속 거꾸로 매달린 미소 짓는 여성의 왼편엔 피처럼 붉은 글씨가 쓰여 있습니다.‘Love as a transforming force that can change everything SPAIN(사랑은 모든 고통(스페인)을 바꿀 수 있는 힘)’. 고통(Pain)과 자신의 고향인 스페인(Spain)을 언어유희로 엮어 관람객에게 농담을 건넵니다. 행복해서 웃는 게 아니라 웃어서 행복해질 수도 있다고 그는 말합니다.
전시장 내 상상 속 마을은 그의 머릿속을 현실로 구현한 것 같은 느낌을 줍니다. 전시는 ‘삶’과 ‘가족’ ‘사랑’을 거쳐 ‘영감’에 다다르며 그의 작품 세계로 안내합니다.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관람객에게 그의 작품들은 그동안 잊고 있었던, 감정과 포근한 기억을 제공합니다. 그의 작품이 완성되기까지의 과정을 함께 여행하다 보면 어느새 행복한 미소를 머금고 있는 나 자신을 만나게 될지도 모르죠. 전시는 12월 4일까지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