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성장률 4% 쇼크… 올 성장률 5%는 가능할까

중국의 작년 4분기(10~12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4%에 그쳤다. 시장 전망치였던 3.6%보다는 높았지만, 최악의 코로나 사태가 진행 중이던 2020년 2분기(3.2%)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이다. 중국의 성장률은 작년 1분기 2020년 코로나 사태 초기 경제 악화의 기저 효과로 18.3%를 기록했지만, 7.9%(2분기), 4.9%(3분기), 4%(4분기)로 가파른 내리막으로 굴러떨어지고 있다.
중국 정부는 올해 5%대 성장률을 목표로 제시할 것으로 보이지만, 글로벌 경제 예측 기관이나 전문가들은 4%대에 그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코로나 사태로 ‘바오류(保六·6% 성장률 유지)’가 무너진 데 이어 ‘바오우(保五·5% 성장률 유지)’까지 위태로워진 것이다. 중국의 경기가 반등하지 못할 경우 세계경제에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 지만수 한국금융연구원 국제금융연구실장은 “중국이 내수 소비가 특히 저조하다”며 “이런 추세가 올해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올해 성장률이 5%를 넘기기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부동산 침체에 ‘제로 코로나’ 경기 발목 잡아
중국의 성장률이 둔화하는 이유는 복합적이다. 우선 글로벌 공급망 병목현상으로 ‘세계의 공장’이라는 중국 경제가 매끄럽게 굴러가지 못하고 있다. 공급 지연으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해 기업들의 비용이 대폭 커졌다. 핀테크, 게임을 비롯한 성장 산업에 정부가 강한 규제를 가하는 것도 성장을 가로막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IT, 사교육 등의 분야에서 규제가 이어지면서 작년 하반기 들어 성장 에너지를 잃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중국은 최근 부동산 개발 회사에 대한 대출을 억제하고 있다. 이미 부동산 경기가 침체 기미를 보이고 있는 데다, ‘제2의 헝다(恒大) 사태’가 벌어지면 금융시장이 동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날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해 부동산 기업들이 개발용으로 불하받은 토지 면적이 전년보다 15.5%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중국 GDP의 약 30%를 차지하는 부동산 산업이 위축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중국 정부가 ‘제로 코로나’를 표방하며 강력한 봉쇄에 집착하는 것도 경기 하강을 부채질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은 “제로 코로나 정책은 요식업과 여행업에 큰 고통을 줄 것”이라고 했다.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는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삼성전자, 폴크스바겐, 폭스콘 등을 비롯한 (중국 내) 다국적 기업이 이미 부품 조달에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며 “이런 정책이 장기화되면 세계 제조업에 충격이 불가피하다”고 했다.

◇5%대 성장률 사수 총력전 벌일 듯
이런 상황에서 작년 말 중국 국무원 직속 싱크탱크인 사회과학원은 2022년 경제성장률을 5.3%로 예측하면서 5%대 목표를 설정할 것을 정책 당국에 건의했다. 다시 6%대 성장으로 올라서는 것을 사실상 포기하고 5%대라도 사수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됐다. 그러나, 이마저도 어렵다는 전망이 많다. JP모건체이스는 4.7%, 골드만삭스와 노무라증권은 각각 4.3%를 전망한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중국이 수출 호조로 버텼지만 올해는 수출마저 여의치 않다는 이유를 들고 있다.
시진핑 주석이 올해 가을 20차 당 대회에서 ‘10년 임기’ 관례를 깨고 당 총서기를 3연임할 예정이라 장기 집권에 정당성을 부여하고자 다양한 경기 부양책을 꺼낼 가능성이 높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이날 기준 금리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대출 금리를 2.95%에서 2.85%로 0.1%포인트 인하했다. 그러나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올해 4차례 이상 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되면서 중국이 금리를 공격적으로 내리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방파제서 발사 5초만에 추락···'KAIST로켓' 실패이유 셋 (0) | 2022.01.18 |
---|---|
[팩플] 농업 데이터의 힘…50만 농부가 쓰는 그린랩스, 1700억원 투자 유치 (0) | 2022.01.18 |
상장 앞둔 현대엔지니어링 “친환경 기업으로 변신” (0) | 2022.01.18 |
나이키·언더아머·아디다스·월마트, 전부 여기 꽂혔다 (0) | 2022.01.18 |
실적전망 좋은 ‘해·조·기’ 밑에서 낚아볼까 (0) | 2022.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