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World & Now] 인공지능 기술에 국가 흥망 달렸다
바퀴·철기…인류 `범용기술`
발전할수록 쓰임새 다양해져
종국엔 사회변혁으로 이어져
미래의 범용기술은 인공지능
美中보다 더 과감한 혁신해야

스탠퍼드대 인간 중심 인공지능 연구소에서 지난주 '강대국의 흥망성쇠에 기술이 미치는 영향'이라는 이색적인 세미나가 열렸다. 제프리 딩 옥스퍼드대 박사가 이날 꺼내든 개념은 '범용기반기술(General Purpose Technology·GPT)'이다. 오늘날 급부상하고 있는 인공지능이 인류사에서 몇 안 되는 범용기반기술이고, 이를 지배하는 국가로 패권이 이전될 것이라는 내용이다.
리처드 립시 런던정경대 교수가 정립한 이론에 따르면 인류는 지금껏 총 24개에 달하는 범용기반기술을 만들어냈다. 멀리서는 바퀴, 글의 발명, 청동기, 철기부터 가까이는 컴퓨터, 생명공학, 나노기술, 인공지능까지 광범위 영역이다. 하지만 범용기반기술은 일반 기술과 달리 독특한 특징을 갖는다. 그것은 사회적 파급력이 매우 막대하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허점이 많아 생산성을 끌어올리지 못한다. 하지만 기술이 고도화되면 될수록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궁극적으로는 사회 전반을 혁신하면서 생산성을 끌어올린다는 주장이다. 예를 들어 증기기관은 노동 생산성을 매년 0.34%, 정보기술(IT)은 매년 0.6%, 로봇공학은 0.36%씩 끌어올렸다는 설명이다.
범용기반기술은 그 특성상 거대한 파도처럼 종전 제도를 무너뜨리고 대규모 인적 자본의 변화를 요구하면서 사회 전체를 변혁시킨다. 오늘날 인공지능이 아직 초입 단계라 생산성 향상과 사회적 변화에 큰 영향을 주고 있지는 않지만, 언젠가는 인공지능으로 인해 국가의 생산성이 달라지고 패권의 이전이 올 수 있다는 것이다.
강대국의 흥망성쇠를 저술한 폴 케네디 전 예일대 교수는 "기술 변화와 성장률이 세계 경제의 균형에 균열을 만들고 이는 궁극적으로 정치적·군사적 균형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파했다. 일맥상통하는 논리다. 20세기 미국이 패권 국가로 부상할 수 있었던 그 배경에는 범용기반기술 중 하나인 대량생산 시스템을 주도하는 전략이 있었다. 영국은 엔지니어 수에서 부족했고, 독일은 표준화에 실패하면서 패권국가에서 밀려났다.
오늘날 주요 국가들이 인공지능을 국가적인 어젠다로 삼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중국은 2035년까지 완성할 7대 첨단 과학기술에서 첫 번째로 인공지능을 꼽았고, 미국은 '2020 국가 AI 이니셔티브 법'을 제정하기도 했다. '인공지능 신냉전'이니 '인공지능 군비 경쟁'이니 하는 표현들이 오늘날 심심찮게 등장하는 이유다.
물론 우리나라도 이런 현실을 모르는 것은 아니다. 2025년까지 1조원을 투입해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 인재 10만명을 양성한다는 것이 대표적 사례다. 하지만 나날이 격해지는 인공지능 경쟁에서 생존하려면, 지금보다 더욱 과감해질 필요가 있다.
[실리콘밸리 = 이상덕 특파원 asiris27@mk.co.kr]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술품 투자법'…교실은 백화점? (0) | 2022.01.25 |
---|---|
"두근두근"…영화거장 대작 행진에 설렌다 (0) | 2022.01.25 |
눈뜨고 당한다…기상천외 해킹 기법 속출 (0) | 2022.01.24 |
[시가 있는 월요일] 살아가라 (0) | 2022.01.24 |
오세훈 “與장악 시의회에 계란으로 바위치기였다, 시정 바로세우기 25% 그쳐” (0) | 2022.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