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윤성민 칼럼] 中 압박 이겨내는 4가지 방법
입력 2022.02.21 17:20 수정 2022.02.22 00:08 지면 A35
갈수록 거칠어지는 중국의 태도
할말 하면서 주변 협력은 강화
차별적 경쟁력·비상플랜 대응을
윤성민 논설위원
할말 하면서 주변 협력은 강화
차별적 경쟁력·비상플랜 대응을
윤성민 논설위원

이 관점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불가시성 전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보인다. 그는 베이징 동계올림픽 초기 편파 판정 시비가 일자 “영해를 침범한 중국 어선을 격침해 버려야 한다”고 했다. 흡사 2000년 6월 마늘파동 때 신중하지 못한 정부의 과잉 대응을 연상케 한다. 당시 정부는 관세율을 30%에서 315%로 올리는 세이프가드 조치를 취했으나, 중국 정부가 폴리에틸렌과 휴대폰에 대한 금수조치로 보복하자, 견디다 못해 관세를 원래 수준으로 되돌려 놓고 말았다.
작년 7월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의 중국 관련 인터뷰 발언은 문재인 정부의 요새전술이 전무하다는 것을 재확인시켜 준 경우다. “확고한 한·미 동맹의 기본 위에서 대중국 외교를 펼쳐야 수평한 대중(對中) 관계가 가능하다”는 야당 대선 후보의 말을 주한 중국대사가 트집 잡고 나섰다. 중국 대사는 “중·한 관계는 결코 한·미 관계의 부속품이 아니다”는 언론 기고문도 모자라 외교부까지 찾아가 항의했다. 누가 봐도 내정간섭이 분명한 그의 언행에 외교부는 역시 공식 입장이 없었다.
관련기사
차기 정부의 핵심 과제 중 하나는 문 정부에서 망가진 외교력을 복원시키는 것이다. 이제 외교는 단순히 안보 문제가 아니라 경제와 직결되는 국익의 핵심 분야다. 1965년 수교 후 최악으로 틀어진 한· 일 관계의 회복도 절실하다. 중국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주변국들 간의 협력이다.
외교의 사고틀은 시나리오다. 1994년 진대제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장(전무) 시절, 간부 워크숍 주제는 ‘삼성 반도체가 망하는 두 가지 시나리오’였다. 이미 그때 나온 시나리오 중 하나가 일본이 반도체 장비의 한국 수출을 금지시킬 때의 대응방안이었다. 2019년 7월 일본이 3개 품목의 금수 조치에 들어갔을 때 삼성이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었던 것도 이런 훈련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시나리오 사고를 하는 정부라면 ‘3불(不)정책’이 무효화될 경우 중국의 반응에 대한 대응책도 강구하고 있어야 한다.
“호주는 중국만이 경제적 번영을 보장해 줄 수 있다는 믿음에 사로잡혀 베이징의 괴롭힘에 맞서길 두려워했다. 중국의 진정한 본질과 야망을 깨닫지 못하면 한국도 위험하다. ” 중국 공산당의 호주 사회 침투 행적을 낱낱이 해부한 클라이브 해밀턴 교수의 《중국의 조용한 침공》 중 한 대목이다. 지금 세상은 “사드 같은 흉악한 것 말고 보일러 놔 드리겠다”고 비아냥댈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산 칼럼] 인플레와 다카하시 고레키요의 죽음 (0) | 2022.02.22 |
---|---|
[특파원 칼럼] 중국이 '편파 판정'한 이유 (0) | 2022.02.22 |
토종 알람앱, 전세계 450만명 아침을 바꾼다 (0) | 2022.02.21 |
39살에 해고돼 어쩔 수 없이 창업, 끝내 쌓은 재산의 규모 (0) | 2022.02.21 |
[만물상] 60대의 뇌 (0) | 2022.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