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아침마다 어지럼증, 빈혈인 줄 알았는데…" 뜻밖의 진단 [이선아 기자의 생생헬스]
입력 2022.02.25 16:50 수정 2022.02.26 00:14 지면 A17
어지럼증 동반하는 이석증·메니에르병
이석증, 귓속 반고리관 위 칼슘 덩어리
제자리서 떨어져 나와 굴러다녀 발생
고개 돌릴 때 어지럽고, 속 메스껍기도
심하면 이석 돌려놓는 시술 받아야
메니에르병, 자가면역질환·중이염 등 영향
달팽이관 속 림프액 기능 이상 생겨 발생
양쪽 귀 청력 저하, 이명·구토 등 이어져
난청 악화되면 고막에 스테로이드 주사
이석증, 귓속 반고리관 위 칼슘 덩어리
제자리서 떨어져 나와 굴러다녀 발생
고개 돌릴 때 어지럽고, 속 메스껍기도
심하면 이석 돌려놓는 시술 받아야
메니에르병, 자가면역질환·중이염 등 영향
달팽이관 속 림프액 기능 이상 생겨 발생
양쪽 귀 청력 저하, 이명·구토 등 이어져
난청 악화되면 고막에 스테로이드 주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석증은 귀 안에서 평형을 유지해주는 돌이 제자리를 벗어나 이리저리 돌아다니면서 발병한다. 보통 수일 안에 증상이 저절로 사라지지만, 고령층은 어지럼증 때문에 낙상 사고를 당할 수도 있다. 재발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삶의 질을 확 떨어뜨린다. 이석증과 비슷하게 어지럼을 유발하는 메니에르병은 청력 손실과 이명까지 동반한다. 전문가들이 어지럼이 생기면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원인을 찾고, 치료해야 한다고 조언하는 이유다.
머리 움직일 때마다 어지럽다면 ‘이석증’

관련기사
이석증으로 인한 어지럼증은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 생긴다.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날 때, 고개를 숙였다가 갑자기 들 때, 잠결에 돌아누울 때처럼 머리 위치가 갑자기 바뀌면 1~2분 정도 주변이 빙빙 도는 듯한 회전성 어지럼증을 느낀다. 이런 어지럼증은 보통 수분 이내에 사라진다. 하지만 어지럼증이 멈춘 뒤에도 머리가 무겁고 속이 메스꺼운 느낌이 지속될 수 있다.
메니에르병은 저음역대부터 난청
어지럼증뿐 아니라 청력까지 떨어진다면 메니에르병을 의심해야 한다. 메니에르병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자가면역질환, 알레르기, 중이염 등으로 인해 달팽이관 안에 있는 내림프액의 분비·흡수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서 발병하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정한다.환자의 20~30%는 먼저 한쪽 귀에서만 청력 저하가 나타나다가 나중에는 양쪽 귀 모두 증상이 생긴다. 1분 이내에 어지럼증이 사라지는 이석증과 달리 메니에르병은 이런 증상이 20분 이상, 길게는 12시간까지 이어진다. 머리의 움직임과는 관계없이 증상이 나타나는 것도 메니에르병의 특징이다. 이명이 나타나고, 구토·오심이 동반되기도 한다. 만성으로 악화하면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없을 만큼 삶의 질이 떨어진다.
메니에르병에 걸렸더라도 사람에 따라 일부 증상만 나타날 수 있다. 강우석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어지럼증이라는 동일한 증상을 느껴도 원인이 다양하고 질환별 치료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이비인후과를 찾아 정확하게 진단받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석증 환자 70%가 여성
이석증과 메니에르병 환자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이석증으로 인해 병원을 찾은 사람은 2017년 35만3364명에서 2020년 41만1676명으로 17% 늘어났다. 메니에르병 환자도 같은 기간 14만6425명에서 16만3620명으로 증가했다.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이석증에 취약했다. 2020년 이석증 환자의 70%(28만9661명)는 여성이었다. 이 중에서도 절반가량이 50~60대 여성이었다. 변재용 강동경희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성이 남성보다 칼슘 대사에 취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고 했다. 그는 “폐경기 여성은 호르몬 변화로 인해 칼슘대사 이상이 생길 수 있다”며 “이런 이유 등으로 이석증은 중년 여성 환자가 많은 편”이라고 말했다. 스트레스 증가와 자극적인 식습관으로 인해 환자가 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노년층은 이석증을 더 주의해야 한다. 노년층은 뼈가 약하고 순발력이 떨어지는 탓에 낙상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낙상 시 고관절에 골절이 생기면 심한 통증과 함께 사타구니와 넓적다리 쪽이 붓는다. 움직이지 못하다 보면 기존에 갖고 있던 지병이 악화하기도 한다. 김태현 목동힘찬병원 정형외과 원장은 “노인에게 고관절 골절은 생명까지 위협하는 부상”이라고 했다.
난청 심하면 고막에 주사 맞아야
이석증과 메니에르병은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 이석증은 일반적으로 특별한 치료를 받지 않아도 수주 이내에 호전된다. 하지만 어지럼증이 심하다면 ‘이석 치환술’ 같은 치료를 받을 수 있다. 고개 위치를 돌리면서 이석을 원래 위치로 되돌리는 시술이다. 이석 치환술은 어지럼증을 일으키는 반고리관 위치에 따라 방법이 달라진다. 환자 스스로 하기보다는 이비인후과 의료진에게 받는 게 좋다.메니에르병도 환자의 약 80%가 자연 치유된다. 하지만 어지럼증의 주기, 강도, 청력 손상 정도 등에 따라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전정 억제제, 오심·구토 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귀 안의 압력을 낮추기 위해 이뇨제, 혈류개선제, 스테로이드제를 투여할 수도 있다. 난청 증상이 심하면 고막에 직접 스테로이드제제 주사를 놓을 수도 있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마존·메타 판 美 억만장자들, 대신 담은 종목들 (0) | 2022.02.26 |
---|---|
'꿀잠' 고픈 美·英, 슬립테크에 푹 빠졌다 (0) | 2022.02.26 |
봄도 왔는데…차 타고 떠나는 독일 [핫플레이스] (0) | 2022.02.26 |
"미쳤다" 전세계가 놀란 '조커 피규어'…한국서 만든 사실 아시나요? [인터뷰] (0) | 2022.02.26 |
540만원에 샀는데 2년후 1억1500만원 됐다…'도도새' 열풍이 뭐길래 (0) | 2022.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