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부작용 적고 가격 저렴…NK세포 치료제, 항암제 시장 판 뒤집나
입력 2022.03.04 17:27 수정 2022.03.05 00:21 지면 A18
헬스케어 인사이드
암세포 추적해 '자연살해'
T세포 치료제보다 부작용 적어
암세포 추적해 '자연살해'
T세포 치료제보다 부작용 적어

NK세포(사진)는 T세포와 함께 우리 몸의 대표적인 면역세포입니다. 암 환자가 아닌 건강한 사람의 몸에서도 암세포는 수시로 생겨납니다. 세포가 복제되는 과정에서 일부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우리 몸의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인지하고 제거하기 때문에 건강한 사람의 몸에서 일부 생겨난 암세포는 그 세를 불리지 못하고 사라집니다. 그렇다면 면역세포가 감당할 수 없을 만큼 암세포 수가 증가한 암환자라면 어떨까요. 평소 몸에 있는 면역세포보다 더 많은 양의 면역세포를 넣어주면 암세포를 모두 제거할 수 있지 않을까요. 이런 개념에서 출발한 게 면역세포치료제입니다.
면역세포 치료제로 실제 쓰이는 데는 NK세포와 T세포 중 T세포가 더 빨랐습니다.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첫째, 자연 상태로 배양해 환자에게 투여했을 때 효과가 NK세포보다 T세포가 더 좋았습니다. 두 번째 이유는 암세포만 골라 죽일 수 있도록 하는 항원수용체의 유전자를 집어넣기가 NK세포에 비해 T세포가 더 수월했기 때문입니다. 2017년 노바티스가 출시한 CAR-T(키메릭항원수용체 T세포) 치료제 ‘킴리아’가 이런 원리로 나온 면역세포 치료제입니다.
관련기사
광고
T세포에 비해 NK세포의 부작용이 적다는 점에 주목한 국내 신약 벤처기업도 많습니다. 암세포를 추적하기 위한 유전자 조작을 따로 하지 않고 NK세포를 많이 투여하기만 해도 암을 잡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에서입니다. 부작용이나 면역거부반응을 최소화하려고 환자나 가족에게서 채취한 NK세포를 배양해 수십 회에 걸쳐 반복 투여하는 것이죠. 일종의 ‘인해전술’인 셈입니다. 박셀바이오, 엔케이맥스, 차바이오텍, 에스엠티바이오 등이 이 방법을 택했습니다. 가령 박셀바이오는 임상 2상에서 NK세포를 매일 1회씩 5회 투약 후 한 달 뒤에 다시 같은 방법으로 투약합니다.
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크라의 윤동주'가 쓴 詩, 전장을 울리다 [고두현의 문화살롱] (0) | 2022.03.05 |
---|---|
독감과 비슷하다는데'…오미크론 대비 어떤 약 사둘까? [이선아 기자의 생생헬스] (0) | 2022.03.05 |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 한한령 뚫었다…콘텐츠株 상승 (0) | 2022.03.05 |
[채서영의 별별영어] 프레지던트(president) (0) | 2022.03.05 |
[선데이 칼럼] 존경이 사라진 사회 (0) | 2022.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