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천지의 중앙 아니다” 18세기 조선 학자가 본 세계

윤동규가 필사한 『곤여도설(坤輿圖說)』의 일부. [사진 허경진 교수]
“유럽에서 가장 서쪽에 있는 나라를 에스파냐라고 하는데, 둘레가 1만2500리이다. 세간에서 말하기를 세상 모든 나라 중 영토 크기에 대해, 하나로 이어진 것으로 따지자면 중국이 으뜸이나, 만약 다른 지역으로 분산된 영토까지 한다면 에스파냐가 으뜸이라고 한다.”
가톨릭 신부 페르비스트가 남회인(南懷仁)이라는 중국명으로 1672년에 간행한 『곤여도설(坤輿圖說)』 일부다. 세계 각지의 지리와 자연과학 정보를 집약한 지리과학서다. 출간 얼마 뒤 조선에 유입됐다.
세계의 중심은 중국이고, 청-조선-일본 외에는 모두 오랑캐로 여기던 시절이다. 그런데도 『곤여도설』은 성호 이익의 제자를 중심으로 필사본이 만들어지는 등 큰 관심을 끌었다. 18세기 후반~19세기 활동한 학자 서유본은 아들에게 쓴 편지에서 이 책을 언급하며 “중국은 적도의 북쪽에 치우쳐 있으니 진실로 천지의 중앙이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윤동규가 필사한 『곤여도설(坤輿圖說)』의 일부. [사진 허경진 교수]
지난해 12월 나온 『곤여도설』은 성호의 제자인 소남 윤동규의 필사본을 번역한 것이다. 『곤여도설』은 현재 상권이 윤동규 종가에 필사본으로, 하권이 규장각에 목판본으로 한 권씩 남아있다. 윤동규는 이 필사본에 다양한 메모를 남긴 덕분에 당시 조선 지식인들이 이 책에 어떻게 반응했는지 알 수 있다. 이를테면 바다의 조석(潮汐)을 다룬 부분에서 윤동규는 『직방외기(職方外紀)』를 인용해 “그리스에서 떨어진 에보니아 바다에는 조수가 하루 일곱 차례나 있다. 이름난 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가 그 연유를 알지 못해 애석하게도 이 물가에 이르러 죽고 말았다”고 메모했다. 『직방외기』도 명나라 말 이탈리아 선교사 알레니가 한문으로 펴낸 세계지리책이다.
윤동규는 영조 때 학자다. 당시 조선에서 이런 책이 필사되고 유통된 건 어떤 의미일까. 이 책을 번역한 허경진 연세대 명예교수에게 책과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세계 인식에 관해 들어봤다.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악이라 생각한 기획… 1억명이 봤네요” (0) | 2022.01.25 |
---|---|
자율주행 로보택시 타보니…4→1차선 변경도 매끄럽네 (0) | 2022.01.25 |
1세대 행위예술가 이건용 “몸 쓴 흔적이 곧 예술” (0) | 2022.01.25 |
한국은행 “디지털화폐 발행 성공”… 돈 대체도 가능할까 (0) | 2022.01.25 |
온도계 꽂아두면 불 조절은 알아서… 신기한 전기레인지, 요리사들 뺨치네요 (0) | 2022.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