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억으로 3조원…“기술과 시장 연결하는 다리 돼야”

R&D 패러독스 극복하자 (16) 이용관 블루포인트파트너스 대표

블루포인트파트너스는 카이스트 출신 이용관 대표가 2014년 설립한 창업 육성 기업이다. 이 대표는 “초기 투자금을 지원받기 어려운 혁신 스타트업의 창업과 성장을 돕고 있다”고 말했다. 김현동 기자
“회사 직원들과 단체로 스키장에 갔어요. 한창 슬로프를 내려오는데 전화가 계속 오는 겁니다. (상대방이) ‘아니, 오늘 납품하기로 해놓고 상품을 왜 안 보내냐’는 거예요. 알고 보니 몇 달 전에 접수해놓고 서로 누군가 하겠지 하고선 잊어버린 거였어요. 너무 황당한 일이었지요.”
지난달 26일 서울 역삼동에 있는 사무실에서 만난 이용관(51) 블루포인트파트너스(블루포인트) 대표는 20여 년 전 창업 초기 경험을 얘기하며 지금도 어이가 없다는 듯 웃었다. 이 대표는 “초기 스타트업의 경영 체계가 빈약하다는 것을 극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며 “사업은 시스템이다. 기술만으로 되지 않는다는 것을 그때 깨달았다”고 말했다.
회사 매각한 300억 종잣돈 삼아
2014년 투자회사 설립한 ‘공대 형’
“상장 통해 신뢰성 키워 브랜드 확장”
투자 기업 223곳, 시장 가치 3조원대
블루포인트는 혁신기술 스타트업을 전문으로 육성하는 액셀러레이터다. 블루포인트는 ‘블루오션의 출발점’이라는 뜻으로, 창업 여정의 시작부터 함께 하겠다는 의미를 담은 사명이다. 블루오션은 차별화 전략과 저비용 구조를 통해 경쟁이 없는 신시장을 창출하는 경영전략을 뜻한다.
이 회사는 본사가 대전에 있다. 지금까지 육성한 기업 수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223개다. 이 가운데 상장을 준비 중인 회사가 8개다. 예비 유니콘(기업 가치 1조원 이상 기업)으로 꼽히는 에스투더블유랩(사이버 위협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휴톰(수술 인공지능 플랫폼) 등이 블루포인트의 지원을 받고 있다. 지금까지 지원, 육성하는 스타트업의 기업 가치를 모두 더하면 3조2000억원에 이른다.

블루포인트파트너스는 어떤 회사.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블루포인트는 기술 스타트업이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필요한 인력을 소개하거나 경영 목표를 설정하는 데 조언해주는 식이다. 이 대표는 “적어도 창업가들이 몰라서 실수하는 일은 없도록 하자는 게 1차 목표”라고 소개했다.
투자 기업 생존율 91% … 평균의 4.5배
실제로 블루포인트가 투자한 스타트업의 생존율은 91.5%에 이른다. 기술 스타트업의 5년 내 생존율이 평균 20% 안팎이라는 사실을 고려하면 4~5배가량 되는 셈이다. 이 대표는 투자 기업의 생존율이 높은 이유로 노하우의 축적을 꼽았다. 블루포인트는 물론 육성 스타트업이 서로 ‘비법’을 공유하면서 생존력을 높였다는 설명이다.
블루포인트 육성 스타트업인 인투코어테크놀로지의 엄세훈 대표는 “벤처 투자자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초기 기술 기업에 대한 이해가 높고 의지가 강한 것이 블루포인트의 강점”이라고 말했다. 김판건 미래과학기술지주 대표는 “특히 대전에 본사가 있어 카이스트를 중심으로 많은 기술 기업을 발굴했으며 직접 창업한 경험으로 ‘공대 형’이라고 불리며 초기 기업을 잘 이끌어주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물리학 학사·석사·박사 학위를 받은 이 대표는 박사 과정 중인 2000년 동료들과 반도체 스타트업인 플라즈마트를 창업했다. 플라즈마트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 필요한 플라즈마의 발생·측정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회사로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에 제품을 공급했다.
이 대표는 2012년 이 회사를 미국 나스닥 상장사인 반도체 장비업체 MKS에 매각했다. MKS는 1년 넘게 플라즈마트 인수에 공을 들였다고 한다. 매각 금액은 300억원이었다. 이 대표는 이 돈의 일부를 후배들이 창업한 스타트업들에 투자했다. 직접 회사를 경영하며 쌓은 노하우도 알려줬다. 그러다 2014년 블루포인트를 창업했다.
지난 2020년 기준 한국의 연구개발(R&D) 인력은 55만8000여 명으로 세계 5위 수준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R&D 투자 비중은 4.81%로 이스라엘(4.93%)에 이어 2위다. 하지만 혁신기술 스타트업 창업의 성공 사례는 많지 않다. 창업과 투자·육성을 모두 경험한 이 대표는 “뛰어난 기술을 사업화하는 능력이 부족한 탓”이라고 진단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그러면서 이 대표는 블루포인트의 지원으로 성장한 스타트업으로 3차원 홀로그래피 현미경 개발업체인 토모큐브 사례를 들었다. 홍기현 토모큐브 대표의 말이다. “토모큐브는 기획 창업 형태로 만들어진 스타트업이다. 기술을 보유한 박용근 KAIST 물리학과 교수가 창업을 바랐지만,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는 상태였다. 블루포인트의 소개로 제가 비즈니스 담당으로 합류하면서 팀이 구성됐다. 박 교수는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맡고 있다.”
현재 토모큐브는 외부 자본을 추가로 유치하면서 개당 1억원 안팎의 현미경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하버드대 등 20여 개국 50여 개 대학·연구소에 공급했다. 올해 예상 매출은 64억원이다.
블루포인트는 올해 상장할 계획이다. 상장에 성공하면 국내 액셀러레이터로는 처음이다. 이 대표는 “(상장을 통해) 회사의 신뢰성과 체계성을 높여 외부 자금 규모를 늘리고,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브랜드 가치를 키워나가겠다”고 말했다.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고갈의 시계가 빨라진다 (0) | 2022.02.04 |
---|---|
역사가 정권 안보용인가 (0) | 2022.02.04 |
뒤주에서 죽은 사도세자, 당쟁의 희생양일까 (0) | 2022.02.04 |
서자 출신 주도한 갑오개혁, 日 민비살해로 무너져[박훈 한일 역사의 갈림길] (0) | 2022.02.04 |
동그라미 대신 정육각형… 우주망원경에 숨겨진 다양한 수학 원리 (0) | 2022.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