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 2만2900개, GM과 美에 공장 추가 건립… ‘배터리 신화’는 계속 된다
LG에너지솔루션

‘고객에게 신뢰받고 사랑받는 기업’
LG에너지솔루션의 유가증권시장(KOSPI) 상장 기념식이 열린 지난달 27일 한국거래소 내 대형스크린에 이 같은 문구가 떴다. 1992년 대한민국 2차전지 사업의 개척자로 첫 발을 내디딘 이후 30년이란 시간을 거쳐 상장이라는 결실을 맺은 LG에너지솔루션이 내건 새로운 목표다. 이날 LG에너지솔루션 최고경영자(CEO) 권영수 부회장은 “이번 상장을 지난 30년의 마무리가 아닌 새로운 100년을 위한 출발점으로 생각하겠다”며 상장 소감을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기업공개(IPO) 과정에서 ‘최초·최고·최대’로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기록들을 남겼다. 유가증권시장 역사상 공모금액이 처음으로 10조 원을 돌파했고, 국내외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 예측에서도 가장 높은 경쟁률(2023대1)을 기록했다. 일반 투자자 대상 공모 청약에서는 청약 증거금이 약 114조1066억 원이 모이면서 최대 기록을 달성했다.

◇특허만 2만2900여 개... 뛰어난 연구개발(R&D) 역량
1992년 국내 기업 중 가장 먼저 2차 전지 관련 연구를 시작한 LG에너지솔루션은 꾸준히 도전과 혁신 역량을 쌓아왔다. 그 결과 기술과 제품, 고객, 생산능력 등 미래 성장 가능성을 결정짓는 ‘4박자’를 고루 갖춘 기업으로 성장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한국을 비롯해 중국, 미국, 유럽에서 연구개발(R&D)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최근 10년 동안 5조3000억 원을 R&D 투자에 쏟았고 그 결과 소재와 공정, 핵심기술 분야에서 2만2900여 개의 특허를 보유 중이다. 또 전 세계 3300여 명의 R&D 인력이 포진해 있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LG에너지솔루션은 셀 뿐만 아니라 배터리 팩, BMS(배터리관리시스템) 등 다양한 지식재산권(IP)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LG에너지솔루션은 ‘세계 최초’로 표현되는 많은 기술과 제품을 보유 중이다. 배터리 충전 속도를 줄여주는 더블 레이어(Double Layer) 코팅 기술을 비롯해 하이니켈 NCM(니켈·코발트·망간) 양극재, 실리콘 음극재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소형부터 대형까지 원통형, 각형, 파우치 등 다양한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어 고객 요구 가격대 및 성능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도 LG에너지솔루션만의 강점이다.

◇”글로벌 생산체계 및 양산 경험이 미래 밑거름”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달 25일 미국 1위 자동차 업체 GM과 전기차 배터리 제3 합작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총 투자액 3조 원(26억 달러), 연 생산 규모가 50GWh에 달하는 대형 생산공장이다. 양사는 앞서 오하이오주에 제1공장, 테네시주에 제2공장 투자 계획을 밝혔었는데 이번 제3공장을 포함하면 연 생산 능력은 120GWh에 이른다. LG에너지솔루션은 GM합작 공장 외에도 한국-북미-중국-폴란드-인도네시아 등 5개 국가에서 단독 및 합작 전기차 배터리 생산공장을 운영 중이다.
이번 기업공개(IPO)를 통해 약 10조2000억 원 가량의 자금을 확보한 LG에너지솔루션은 글로벌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투자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2024년까지 북미 지역에 5조6000억 원, 유럽 및 중국 지역에 각각 1조4000억 원, 1조2000억 원, 2023년까지 한국 지역에 6450억 원을 투자해 생산능력을 확대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활동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배터리 생산공정에서 에너지 사용량을 대폭 절감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도입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권 부회장은 최근 “전세계 모든 사업장에 자원 선순환 고리 체계 구축을 위해 다양한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사업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현우의 미세한 풍경] 우리는 행복이 뭔지 정확히 알지 못한다 (0) | 2022.02.08 |
---|---|
[만물상] “공부가 훈련보다 쉬웠어요” (0) | 2022.02.08 |
새소리 듣던 구글 “이 숲엔 죽은 나무 많군요” (0) | 2022.02.08 |
NFT 알아야 돈번다…빅테크도 게임회사도 “닥치고 NFT” (0) | 2022.02.08 |
“수익률 100배 비결은 사람 투자…요즘은 헬스케어 스타트업 찾아요” (0) | 2022.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