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부산신항, 3D 설계 땐 공사기일 12% 줄어…안전사고도 예방

황태자의 사색 2022. 3. 30. 10:02
728x90

부산신항, 3D 설계 땐 공사기일 12% 줄어…안전사고도 예방

중앙일보

입력 2022.03.30 05:00

지면보기지면 정보

2026년 개항할 부산항 신항 2-6단계 조감도로 BIM 기술을 활용해 3D로 구현한 모습. 사진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26년 개장 예정인 부산항 신항 2-6단계에 3D 형태의 첨단 도면을 적용하면 설계비와 공사비, 운영비 등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2020년부터 2년간 ‘건설정보모델링(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기술을 활용한 건설사업 관리방안 도입 연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BIM은 기존 2D 형태의 도면이 아닌 3D 형태의 도면을 통해 항만이나 건축물을 설계하는 기술이다. 공사 단계별 정보를 비롯해 각 시공 요소 간의 간섭, 충돌 등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설계와 시공일정 수정을 빠르게 할 수 있어 공사비는 물론 공사 기간도 줄일 수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안승현 연구원은 “두산베어스 파크를 건설할 때 BIM 기술을 도입한 결과 공사비 5%(21억 원)를 절감하고, 공사 기간은 49일(12%) 줄이는 효과가 있었다”며 “부산항 신항 2-6단계에 BIM을 시범 적용한 결과 이에 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또 BIM을 이용해 시공 과정을 가상현실(VR)을 통해 사전 점검하면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안 연구원은 “이전에는 경험이라든지, 노하우를 통해 안전사고를 감지했다면 BIM은 게임을 하듯이 시공 과정을 재연하고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완전 자동화 항만으로 조성되는 부산항 신항 2-6단계의 경우 BIM을 도입해야 유지관리 정보를 일원화시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휴대전화로 BIM 통합 플랫폼에 접속해 항만건설 시공 과정을 시뮬레이션하고 있는 모습. 사진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호주 등 12개국 BIM 의무화…한국, 2025년 의무화 

해외 항만건설 사업을 수주하려면 BIM 기술 활용이 필수적이라는 게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의 설명이다. 항만 선진국인 네덜란드, 호주, 미국, 영국, 독일 등 12개 국가가 항만건설 사업에 BIM 적용을 의무화하고 있어서다. 우리나라는 2025년부터 공공분야 항만건설 사업부터 BIM 의무화를 시행할 예정이다.

앞서 해양수산부는 2017년 마련한 ‘4차 산업혁명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항만 설계 및 유지관리 분야에 BIM 기반 통합 플랫폼 구축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표준화된 BIM 플랫폼이 개발되지 않은 데다 BIM 설계 단가가 2D 기반 단가보다 비싸다는 등의 이유로 항만 시공 현장에서는 도입을 하지 않고 있다.

안 연구원은 “적정 수준의 BIM 설계 단가를 설정하고, 늘어난 비용은 정부 예산으로 보조해 BIM 적용을 유도해야 한다”며 “항만건설사업의 BIM 의무화를 위해 적용 지침을 마련하는 동시에 법·제도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이은지 기자 lee.eunji2@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