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에 강했던 엔화가 휘청거린다
[WEEKLY BIZ] 하늘이 무너져도 안전? ‘엔화의 신화’ 몰락하나

외환시장에는 “일본에서 지진이 나면, 일본 돈(엔화)의 가치는 오른다”는 말이 있다. 예를 들어 1995년 1월 일본 간사이 지방에서 진도 7.2의 대지진이 발생하자 달러당 엔화 환율은 6개월 만에 99엔에서 85엔 선으로 떨어졌다. 엔화 가치가 17% 오른 것이다.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 때도 후쿠시마 원전 붕괴 당시 84엔이던 엔·달러 환율이 다음 해 1월 76엔에 진입해 10% 이상 가치가 올랐다. 대형 경제 위기 때도 마찬가지였다.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때 엔·달러 환율은 넉 달 만에 110엔에서 80엔대로 떨어졌다. ‘하늘이 무너져도 안전한 게 일본 돈’이라는 믿음으로 위기가 터지면 엔화를 찾는 사람이 늘었기 때문이다.
위기 때마다 위력을 발휘하던 엔화의 위상이 예전만 못하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졌는데도 엔화가 오히려 약세다. 지난달 28일 엔·달러 환율은 6년 7개월 만의 최고치인 125.1엔까지 치솟아 환율 방어선으로 간주되는 ‘구로다 라인’이 무너졌다. 100엔당 원화 환율도 980~990원대로 떨어져 2018년 12월 이후 3년여 만에 1000원 선이 깨졌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엔화가 더는 안전자산이 아니라는 얘기까지 나온다. 지진이 발생하고, 북한이 핵실험을 해도 끄덕없던 엔화가 요즘 왜 휘청거리는 것일까.
지진이 나도 찾는 사람 많았는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엔 속수무책엔·달러 환율 125엔 넘어 방어선 ‘구로다 라인’ 붕괴美 금리는 오르는데 日은 동결, 양국 금리 격차 점점 커져탄탄하던 경상수지 흑자 흔들, 40년만에 첫 적자 전망 나와
◇부채 비율 250%에도 ‘안전자산’ 신화
일본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을 감안하면, 엔화가 안전자산 취급받는 것은 아이러니다. 지난해 일본 정부가 진 빚은 GDP 대비 247.3%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2015년 국가 부도 위기를 맞았던 그리스의 부채 비율(181%)보다도 높다. 경제성장률도 만성적으로 낮다.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0.2%, -4.5% 역성장을 기록했다. 그렇다고 미국 달러화처럼 확고한 기축 통화도 아니다. 그래서 ‘엔화=안전자산’이라는 믿음이 일종의 ‘무리 효과(herd effect)’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다들 엔화를 안전자산이라고 믿으니 안전자산으로 대접받는다는 얘기다.
하지만 엔화는 안전자산이라는 믿음을 정당화하는 근거도 여럿 있다. 대표적인 게 일본이 보유한 막대한 해외 자산이다. 지난해 일본의 대외 순자산(외국에 있는 정부·기업·개인의 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은 356조9700억엔(약 3532조원)에 이른다. 1990년 이후 30여 년째 전 세계 1위다. 막대한 경상수지 흑자도 한몫한다. 2000년대 초반까지는 주로 상품 수출로, 그 이후엔 해외 자산의 배당·이자 소득으로 흑자를 이어오고 있다. 2016년 한 해만 약 20조엔(200조원) 경상수지 흑자를 내기도 했다.
또한 일본은 빚(국채)이 많지만 이를 일본 금융기관들, 즉 일본 국민이 대부분 짊어지고 있다는 점도 다른 나라와 차이가 있다. 일본의 국채 90% 이상은 일본 은행이나 보험·연기금 등이 보유 중이다. 과거 그리스처럼 금융 위기에 빠졌던 국가들이 해외 금융기관이나 투자자에게 빚을 냈던 것과는 차이가 있다. 이 때문에 어지간해서는 일본이 파산할 가능성은 없다는 믿음에 근거해 엔화가 안전자산 취급을 받아왔다.
◇금리 격차 벌어지자 흔들리는 엔화
최근 엔화의 가치가 급락하는 데는 미국과 다른 길을 가는 일본의 금리 움직임이 가장 큰 요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3년 3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인상한 미국과 대조적으로 일본 중앙은행은 지난달 18일 기준금리를 -0.1%로 동결시켰다. 지난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7.9%로 40년 만에 최고치를 찍은 미국과 달리 일본 물가 상승률은 0.9%에 그쳤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양국 간 국채 금리 차이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2020년 7월만 해도 미국과 일본의 10년물 국채 금리는 차이는 0.8%포인트(미국 0.7, 일본 -0.1%)였는데, 지난달 말에는 2.2%포인트(미국 2.4%, 일본 0.2%)로 벌어졌다. 또 양적 완화를 중단한 미국과 달리 일본은 여전히 국채를 사들이면서 현금을 풀고 있어 엔화 가치는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양임석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는 “일본은 금리를 제로(0) 수준으로 만들어 놓고 국채를 발행해 경제를 유지해왔는데, 이제와 금리를 올리면 재앙이 닥칠 수 있다”며 “미국이 금리를 올려도 일본이 뒤따라 금리를 올리는 것은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했다.

탄탄했던 경상수지 흑자 기조가 흔들리는 것도 엔화 약세에 영향을 줬다. 일본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원자력 비중을 낮추기 위해 석유와 천연가스 수입을 크게 늘렸는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석유와 천연가스 가격이 껑충 뛰자 1월 경상수지가 1조1889억엔(11조8000억원) 적자를 냈다. 이런 추세가 계속되면 올해 경상수지가 40여 년 만에 처음 적자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그렇다면 ‘엔화=안전자산’이라는 공식은 깨지는 것일까. 양임석 교수는 “일본은 과거 해외 투자와 기술 투자로 벌어들였던 돈으로 버텨왔지만, 향후 국민을 먹여 살릴 새 동력을 찾는 데는 실패했다”며 “결국엔 안전자산 지위를 잃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반면 오건영 신한은행 투자상품서비스본부 부부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같은 요인이 엔화 지위를 흔들 만한 요인은 되지 못한다”며 “글로벌 금융 위기 같은 대형 경제 시스템 변화가 닥쳐야 엔화가 여전히 안전자산인지 아닌지 판가름 날 것”이라고 했다.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전에 관심 몰리자, 우라늄 ETF에 몰리는 뭉칫돈 (0) | 2022.04.08 |
---|---|
팬데믹 끝나가자...쓴맛 나는 美 밀키트 시장 (0) | 2022.04.08 |
될성부른 SW 기업 떡잎부터 알아본다 (0) | 2022.04.08 |
빚 한푼 없이 29억 가진 60대… 대한민국 상위 1%입니다 (0) | 2022.04.08 |
네이버앱으로 등본·초본 떼세요 (0) | 2022.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