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500점 모은 '큰손 컬렉터'…"수집은 예술에 생명 불어넣는 일"
입력 2022.04.26 17:58 수정 2022.04.27 00:51 지면 A25
안병광 유니온약품 회장, 개인 소장품 전시회 개최
서울미술관 10주년 기념전
40년전 본 '황소 복제품'에 반해
본격적으로 미술품 수집가 길로
다들 "미쳤다" 말린 서울미술관
10년간 107만명 다녀간 명소 돼
김환기 '아침의 메아리' 최초 공개
배우 최불암 씨가 내레이션 맡아
서울미술관 10주년 기념전
40년전 본 '황소 복제품'에 반해
본격적으로 미술품 수집가 길로
다들 "미쳤다" 말린 서울미술관
10년간 107만명 다녀간 명소 돼
김환기 '아침의 메아리' 최초 공개
배우 최불암 씨가 내레이션 맡아

안병광 유니온약품 회장이 서울미술관 ‘두려움일까, 사랑일까’ 전시장에서 김상유 화백의 그림 수집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허문찬 기자

서울미술관이 소장 중인 이중섭 ‘황소’.
안 회장은 “1983년 우연한 계기로 그림에 빠져들어 고통스럽고도 행복한 시간을 보냈다”며 “수집한 500여 개 작품마다 나름의 스토리가 담겨 있다”고 말했다.
그렇게 안 회장은 이중섭에 빠져들었다. 첫 수집 작품도 이중섭(‘은박지 그림’)이었다. 황소를 다시 만난 건 2010년. 하지만 가격이 너무 높다 보니 선뜻 주머니를 열 수 없었다. 안 회장은 황소 주인에게 “딱 하루만 빌려달라. 집에 걸어놓고 바라보면 답이 나올 것 같다”고 부탁했다. 안 회장은 황소를 손에 넣기 위해 자신이 갖고 있던 이중섭의 ‘길 떠나는 가족’(감정가 17억6000만원)에 현금 18억원을 얹어줘야 했다.
안 회장의 본업은 의약품 유통업이다. 제약회사 말단 직원으로 시작해 6개 계열사를 둔 의약품 도매기업 유니온약품을 일궈냈다. 사업으로 벌어들인 돈은 그림을 사모으고, 미술관을 짓는 데 쓰였다. 사람들은 그에게 그림을 투자 수단으로 얘기했지만, 그는 그너머를 봤다. “2년 내 망할 것”이란 주변 걱정에도 불구하고 서울미술관 건립을 밀어붙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는 “모든 것을 쏟아부어야 하는 미술관 운영은 두려움의 대상이자 사랑의 대상이었다”고 했다.
40년차 컬렉터인 만큼 얘기거리도 많다. 그는 국내 최초로 동판화 작업을 한 김상유 작가(1926~2002)의 유화 작품 80%를 서울미술관이 갖게 된 스토리를 들려줬다.
“2002년 김 작가가 전시회를 열었을 때 화랑에 있던 작품을 모조리 샀습니다. 우선 명상의 세계를 순수하게 그려낸 게 마음에 쏙 들었어요. 김 선생 작품은 여러 개를 모아놓고 봐야 그 깊은 뜻을 알 수 있기도 해서…. ”
모든 전시 작품에는 작가, 작품 설명과 함께 ‘수집가의 문장’이 쓰여 있다. 안 회장의 작품 수집 배경과 감상이 적힌 글이다. 40년간 미술품 수집을 하며 세운 원칙도 있다. ‘작가 개인과의 거래는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수집가가 장사꾼처럼 보이면 작가는 다음 작품을 할 때 자신의 예술성을 표현하기 어려워집니다. 당장 싸게 사기 위해 미술 시장의 불투명성을 부추기고 싶지도 않았고요.”
그는 미술품을 수집한다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길로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했다. 작품을 보는 눈을 어떻게 갖느냐는 질문에 그는 이렇게 답했다.
“시간과 돈을 투자하는 것만으론 가질 수 없어요. 에너지와 열정을 쏟아부을 때 비로소 보입니다. 하루 만에 그린 작품은 3~4년을 걸어놔도 안 팔려요. 하지만 3~4년 공을 들인 그림은 전시한 지 하루도 안 돼 팔리죠. 명작을 보는 눈은 우리 모두의 안에 이미 있습니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R/Special Report]“러시아發 사이버 공격, 한국도 타격 입을 수 있어” (0) | 2022.04.27 |
---|---|
기다림·경청·편견깨기, 그리고 불천노…화승원 나무숲서 깨닫는 '인본경영의 길' [사람과 현장] (0) | 2022.04.27 |
"한국판 넷플릭스 만든다"…토종 OTT는 지원 (0) | 2022.04.27 |
장석주의 영감과 섬광] 그러니 날씨의 속삭임을 흘려듣지 마라 (0) | 2022.04.27 |
용서하는 법을 배우라 (0) | 2022.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