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뒤 1억 만들어준다… ‘청도계’ 인터넷 카페 벌써 후끈
정부지원 10년간 月 최고 40만원
연 3.5% 복리, 청년 누구나 가입
‘文 희망적금’ 가입자는 갈아타야
“10년 너무 길어, 망설여져” 의견도
청년들에게 10년간 매달 30만~70만원씩 적금을 부으면 1억원을 만들어준다는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지난 2일 “내년 중 상품 출시를 추진하겠다”며 도입 시기를 확정하자 아직 구체적인 방안이 나오지 않았는데도 가입 요건과 혜택 등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 카페 ‘청도계’(청년도약계좌의 줄인 말)에는 벌써 6700명 넘게 가입했다. 가입자들은 “2년 만기 시 연 10% 금리 효과가 난다는 문재인 정부의 ‘청년희망적금’보다 가입 문턱은 낮고 지원금은 많다”며 기대감을 표하고 있다.
청년희망적금은 2년간 정부 지원금이 총 36만원뿐인데,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정부 지원금이 10만~40만원이다. 또 소득에 관계없이 연령 요건만 충족하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정부 예측의 8배에 달하는 290만명이 가입한 청년희망적금의 흥행 기록을 뛰어넘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 카페 신입 회원의 90%는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미래에 무엇을 하고 싶나’라는 가입 인사 공식 질문에 ‘내 집 마련’을 꼽았다.

◇큰 윤곽만 나왔는데도 벌써 청년층 관심 ‘후끈’
청년도약계좌는 일명 ‘1억 만들기 통장’으로 불린다. 문재인 정부의 2년짜리 청년희망적금을 확대 개편한 것으로 청년층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돕는 것이 목표다. 매달 정부 지원금을 합해 최대 70만원씩 10년간 저축하면 연 3.5% 복리로 1억원의 종잣돈을 쥘 수 있다.
국민의힘 대선 정책 공약집에 따르면, 청년도약계좌 가입 연령은 만 19~34세로 청년희망적금과 동일하다. 하지만 소득 요건이 없다. 청년희망적금은 연 소득 3600만원 이하인 사람만 가입할 수 있었지만, 청년도약계좌는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일하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가입 가능하다. 이 때문에 소득 기준에 걸려 청년희망적금을 신청하지 못한 청년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7월 기준으로 만 20~34세 취업자는 630만명이다.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한 290만명을 제외한 나머지 청년도 청년 자산 형성 프로그램의 혜택을 볼 길이 열린 것이다.
다만 소득이 많을수록 매월 받는 정부 지원금은 줄어든다. 예를 들어, 연 소득 2400만원 이하의 경우 월 정부 지원금이 40만원이지만, 연 소득 2400만원 초과~3600만원 이하는 20만원, 연 소득 3600만원 초과~4800만원 이하는 매달 10만원을 지원받는다. 연소득 4800만원 초과 시엔 정부 지원금은 없지만 납입액에 이자소득세 없이 소득공제를 해준다. 즉, 소득이 낮은 청년을 더 두껍게 지원하는 구조다. 연 소득 2400만원 이하인 청년은 10년간 최대 5700만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10년 만기 부담… 청년희망적금에서 갈아타기 많을까
이처럼 혜택이 좋지만 일각에선 “문재인 정부에서 흥행한 청년희망적금을 대체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말이 나온다. 10년이라는 만기가 부담돼 실질적으로 갈아타는 인원은 그리 많지 않을 수 있다는 뜻이다. 청년도약계좌는 다른 정부 재정 지원 청년 저축 프로그램과 중복 가입이 안 되기 때문에 2024년 3월이 2년 만기인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들은 내년에 청년도약계좌가 출시되면, 원할 경우 중도에 갈아타야 한다.
그런데 저축 경험이 적은 저소득 청년이나 사회 초년생일수록 심리적 부담을 크게 느낄 수밖에 없다. 간호사 김모(여·31)씨는 “길어야 3년 만기 적금밖에 가입해본 적이 없는데, 매월 몇 십만 원씩 10년을 꾸준히 부을 수 있을지 걱정”이라며 “요즘처럼 물가가 올라 생활비가 빠듯한 상황에선 덜컥 가입하기 부담스럽다”고 했다. 중소기업에 다니는 전모(28)씨 역시 “지금은 주식도 가상 화폐도 시장이 부진해 저축으로 눈이 쏠리지만 몇 년 뒤에는 금융 투자 환경이 어떻게 바뀔지 모르지 않느냐”며 “뭐가 더 이득일지 잘 따져볼 것”이라고 했다.
정부는 향후 예산 상황 및 금융권 등과의 협의를 거쳐 청년도약계좌의 세부 내용을 확정할 방침이다. 인수위는 지난 2일 청년도약계좌 공약 추진 방향을 발표하며 “상품별 지원 목적과 행정 비용을 균형 있게 고려해 합리적인 수준에서 지원 대상과 심사 기준 등을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尹 대통령이 산 구두 '바이네르' 대표 "대학 강의 갔다가 충격" (0) | 2022.05.17 |
---|---|
[특파원 칼럼] 시대 변화 못 읽은 손정의 (0) | 2022.05.17 |
‘기후변화 주범’ 눈총받던 에너지기업들, 1분기 129조원 벌었다 (0) | 2022.05.17 |
당근이와 청연이 아시나요? 요즘 스타트업 얼굴입니다 (0) | 2022.05.17 |
회사가 내집 콕 찍어줬다 ‘찾아줘 마이홈’과 손잡고 (0) | 2022.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