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숙박의 미쉐린' 통했다…'낡은 집' 숙소에 MZ세대 열광하는 이유
입력 2022.06.16 16:53 수정 2022.06.17 02:36 지면 A19
우리가 몰랐던 일상의 모험가
이상묵 스테이폴리오 대표
"그집에 하룻밤 묵고싶어 여행 떠나도록 만들겠다"
스테이+포트폴리오 합친
숙박 큐레이션 플랫폼
건축사무소 '지랩'도 운영
낡은 집을 별장으로 개조
이상묵 스테이폴리오 대표
"그집에 하룻밤 묵고싶어 여행 떠나도록 만들겠다"
스테이+포트폴리오 합친
숙박 큐레이션 플랫폼
건축사무소 '지랩'도 운영
낡은 집을 별장으로 개조

이 상상을 현실로 만든 사람이 있다. 30채가 넘는 제주의 돌집을 럭셔리 독채 스테이로, 서울 북촌과 서촌 일대 낡은 한옥을 ‘한옥 스테이’라는 테마로, 전국 곳곳의 낡은 집들을 프리미엄 로컬 숙소로 재탄생시킨 이상묵 스테이폴리오 대표(41)다.
‘그곳’에 머물기 위해 떠난다
스테이폴리오는 숙박 예약 플랫폼이다. 골라주는 숙소는 보통 1박 기준 30만~50만원 안팎이다. 수많은 예약 앱이 지난 몇 년간 ‘남들보다 싸게’ ‘남들보다 많이 팔기’에 몰두할 때, 스테이폴리오는 ‘세상에 하나뿐인 곳, 누구나 머물고 싶은 최고의 공간’만을 엄선했다.
광고

제주 함덕의 낡은 돌집을 리모델링한 ‘와온’.
머무는 것 자체로 여행이 되다
스테이폴리오는 2011년 충남 서산시 해미면 ‘제로플레이스’에서 시작했다. 건축학도였던 이상묵 대표가 친구들과 함께 아버지가 운영하던 식당이자 유년시절의 추억이 담긴 집 ‘영가든’을 리모델링했다. ‘모든 것을 내려놓고 0으로 돌아가는 곳’이라는 의미를 담아 25년 된 낡은 식당을 가야산과 황락호를 낀 펜션으로 개조했다.그동안 돌아다녔던 숙소 리뷰를 모아 ‘스테이(stay)’와 ‘포트폴리오(portfolio)’를 합친 스테이폴리오 블로그를 열고 여행객들과 공유했다. 숙박업소를 단순 연결하고 수수료를 챙기는 것이 아니라 그곳이 왜 가치 있는 숙소인지, 왜 가봐야 하는지를 상세히 설명하며 소통했다.
제주 돌집도, 서촌 한옥도 ‘장르’가 되다
서촌에 8년째 사무실을 두고 있는 지랩과 스테이폴리오는 ‘수평적 호텔’인 ‘서촌유희’ 실험으로 새로운 관점의 커뮤니티 호텔도 선보였다. 마을을 하나의 호텔로 보고, 마을의 골목은 엘리베이터처럼 상상했다. 서촌의 키 낮은 한옥에 머무는 사람들에겐 서촌의 작은 상점들, 이웃 가게들이 한옥으로 통하는 거대한 컨시어지 역할을 하는 셈이다.“로비를 시작으로 층층이 수직적으로 쌓아올린 호텔의 구조를 수평으로 눕혀놓으면 어떨까 하는 아이디어에서 시작했어요. 한 권의 도감, 창작소, 라운지 등 공용공간 역할을 하는 곳과 10개의 한옥스테이를 지랩이 설계하고 스테이폴리오가 운영하고 있습니다.”

낡은 돌집을 리모델링한 와온은 제주 전통 가옥의 기둥과 벽면 등 골조를 그대로 두고 내부 스파 공간을 만들었다. 사진=이병근 작가
MZ세대에 의한, MZ세대를 위한
이 대표를 포함한 창업자들과 직원들은 주로 MZ세대다. 디지털 모바일 환경이 익숙하고,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시대를 살았다. 하지만 자산 버블로 집을 직접 소유하기는 힘들어진 세대. 인생의 거창한 것들을 포기하는 대신 경험을 더 중요시하는 세대로 진화했다. SNS를 통해 경험을 공유하는 것에 몰입하는 동시에 가치 있는 것에 아낌없이 지출한다. 스테이폴리오는 이 세대의 욕구를 완전히 파고든다. 스테이폴리오의 숙소들은 호텔이라기보다 집에 가깝고, 평소 경험하기 힘든 ‘그곳만의 캐릭터’가 분명한 곳들이다.스테이폴리오의 홈페이지와 앱은 잘 꾸며진 갤러리와 같다. ‘풍부한 감각의 흐름을 느끼다’ ‘자신을 돌아보는 아날로그의 시간’ ‘옛 공간을 오늘의 방식으로 재해석하다’ 등이 장소를 서술하는 테마다.
스테이폴리오에 열광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스테이폴리오는 지난해 11월 K-스테이 프로젝트도 시작했다. 제주 조천읍의 1097㎡(331평) 규모 ‘밭담집’ 건축비 1억원을 크라우드 펀딩 방식으로 모집했는데 예상 모집금액보다 9000만원이 더 모였다. 투자자들에게 전원 연 2%의 금리로 수익금을 돌려주고 멤버십과 바우처 등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함께 만드는 집’을 만들어가고 있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티런·한강런, 고궁런까지…24시간 잠들지 않는 서울의 트랙 (0) | 2022.06.17 |
---|---|
두 발로 만드는 인생의 소용돌이 (0) | 2022.06.17 |
"한국에 이런 데가 다 있었네"…국내 숨은명소 도장깨기 (0) | 2022.06.17 |
한참을 넋놓고 '얼굴' 바라봤다…나도 모르게 미소 짓고 있었다 (0) | 2022.06.17 |
잠 못들고 뒤척뒤척… 노년기 불면증, 치매 위험 높인다 (0) | 2022.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