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굽이굽이 732m 내려다보니 우리네 삶이었네
입력 2022.01.20 16:43 수정 2022.01.21 02:04 지면 A22
정감 넘치는 강원 정선 여행
급커브 이어지는 문치재
지금은 드라이브 명소지만
가난의 시대 애환 서려
병방치 스카이워크에선
밤섬 휘감은 동강 한눈에
메밀전병·콧등치기국수…
정선 향토음식 입맛 돋우네
급커브 이어지는 문치재
지금은 드라이브 명소지만
가난의 시대 애환 서려
병방치 스카이워크에선
밤섬 휘감은 동강 한눈에
메밀전병·콧등치기국수…
정선 향토음식 입맛 돋우네

문치재
고원드라이브의 명소, 만항재와 문치재

동강 한반도지형
만항재는 원래 눈꽃보다 ‘천상의 화원’으로 유명하다. 봄부터 가을까지 야생화로 뒤덮인다. 새벽이면 안개가 자주 몰려와 몽환적인 풍경을 연출한다. 야생화부터 눈꽃까지 사시사철 꽃이 만발한 만항재로 오르는 고갯길은 고원 드라이브의 정수로 꼽힌다.
고원 드라이브의 또 다른 명소는 문치재다. 정선 읍내를 빠져나와 지그재그로 이어진 해발 732m를 오르면 전망대가 보인다. 여기부터 급경사의 내리막이 시작되는데 이 구간이 문치재다. 경남 함양의 오도재와 충북 보은 말티재, 신안군 흑산도 12굽이길과 함께 손꼽히는 고갯길이다. 문치재는 해발 1000m가 넘는 높은 산에 둘러싸인 문(門)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지금이야 계절마다 달라지는 풍경을 감상하기 위해 일부러 찾는 여행지가 됐지만 가난한 시절의 문치재는 애환의 다른 이름이었을 것이다.
관련기사
문치재를 넘으면 화암동굴·몰운대 등 화암팔경(畵岩八景)의 절경이 잇달아 펼쳐진다. 100년이 넘은 백전리 물레방아도 이 길에서 만날 수 있는 풍경이다.
정선읍 북실리에도 또 다른 고개가 있다. 해발 583m인 병방치에 오르면 일명 ‘뼝대’로 불리는 경이로운 기암절벽, 한반도 지도를 닮은 밤섬을 휘감아 도는 동강이 한눈에 들어온다. 밤섬과 동강의 풍경을 제대로 즐기려면 병방치 스카이워크를 걸어야 한다. 절벽 끝에 U자형으로 돌출된 길이 11m의 구조물 바닥에 강화유리를 깔아 마치 하늘 위를 걷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콧등치기·수수부꾸미 등 향토 먹거리 가득

정선의 향토음식인 메밀전병과 메밀부치기
시장 어귀에 들어서니 고소한 기름 냄새가 진동을 한다. 가마솥 뚜껑같이 생긴 번철에 하얀 전을 부치고 있다. 종잇장처럼 얇게 편 반죽이 금세 익으면 그 위에 김치, 갓김치, 무채 등으로 버무린 소를 넣고 돌돌 만 메밀전병인데, 정선 주전부리의 대표 선수다. 메밀부치기는 메밀 반죽에 배춧잎을 올려 부친다. 밀가루 반죽으로 부치는 경상도식 배추전과 비슷하다. 심심해 보이지만 막상 먹어보면 달큰한 배추 맛이 매력적이다. 수수한 음식 속에 정선의 향기가 느껴졌다.
■ TIP 함께 가볼 만한 곳
삼탄아트마인
삼탄아트마인

정선=글·사진 최병일 여행레저전문기자 skycbi@hankyung.com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봇, 그리고 로보틱스…자동화 그 이상을 꿈꾸다[이건혁 기자의 CES 후일담] (0) | 2022.01.21 |
---|---|
수학 가르치는 영문과 교수님…"수포자여, 내게 오라" (0) | 2022.01.21 |
이토록 생생한 공포…"조심하시오, 불길함이 전염될 수 있으니" (0) | 2022.01.21 |
[만물상] 예술가의 핏줄 (0) | 2022.01.21 |
[윤평중 칼럼] 대한민국의 생명줄, ‘21세기 그레이트 게임’ (0) | 2022.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