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정주영의 손녀, 정몽준의 딸, 그리고 한국 스타트업의 이모
주 3회 발행하는 유료 레터 [스타트업]입니다. 가입은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58656 클릭하세요. 온라인엔 7일 무료 공개 후 유료 전환합니다.
아산나눔재단은 2011년 10월 약 6000억원의 기금으로 설립했습니다. 10년간 1253개 스타트업 창업팀을 지원했습니다. 10년간 투입한 금액만 1090억원인 공익재단입니다. 흔한 잡음이나 스캔들도 없었습니다. 그런데도 사실 선입견, 없지 않습니다. 아산나눔재단은 한국 고도성장기를 이끈 재벌인 현대가(家)가 설립했기 때문입니다. 운영을 책임지는 상임이사는 정남이(1983년생)씨입니다. 그는 고(故) 정주영 창업가의 손녀이자 정몽준 현대중공업지주 최대주주의 2남2녀 중 장녀로, 정기선 현대중공업지주 사장이 그의 오빠입니다.
“정남이 이사는 꼭 만나보세요.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를 이해하려면, 그의 이야기를 들어야죠”라고 말한건, 플래텀의 조상래 대표입니다. 작년 10월쯤 아산나눔재단이 10주년 기념 행사했을 때입니다. 찾아보니 축하 메시지는 김봉진 우아한형제들 의장도 했더군요. 첫 문장은 “대기업이 재단을 만든다 했을때 ‘과연 어느 정도로 진정성을 보여줄 수 있을지’ 솔직히 반신반의하는 마음도 없지 않았다. 걸어온 길을 보면 괜한 걱정이었다.”고 했습니다.

작년 12월 30일 서울 역삼역의 마루360에서 정남이 상임이사를 만났습니다. 그를 만나기 전, 인터뷰 사전 조사를 일부러 안 했습니다. 가뜩이나 선입견이 더 커질까봐, 정남이 이사의 말을 선입견 탓에 곡해할까봐. 사실 묻고싶은 건 딱 하나였습니다. “이걸 왜 하는지”입니다.

◇Not my crime, Still my sentence... 재소자 자녀의 삶도 소중하다
“질문이 까칠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질문은, 그러니까, 이걸 왜 하세요” 앞도 뒤도 없는 단도직입에 정남이 이사는 듣자마자, ‘하하하하’ 웃었다. 웃음소리 덕분에 회의실 분위기가 환해졌다.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이 있다고 봐요. 10년 후에 뭘 이루겠다라는 지점을 찍어놓고 달려가는 사람, 그리고 하루하루 열심히 사는 사람요. 저는 하루하루 쪽요. (2013년초) 재단에 왔을 때는 9년 후에도 재단에서 일할 거라곤 생각 못했어요. 당시엔 재단에서 맡아할 일이, 해야할 일이 있으니까, 왔어요. 왜 그렇게 생각했냐는 관점에서 보자면, 아산나눔재단은 할아버지(고 정주영 창업자) 서거 10주기때 설립했고 아버지(정몽준 현대중공업 최대주주)가 가장 큰 출연자셨어요. 근데 설립땐, 진짜 ‘시작이 반이다’라는 현대 정신으로 세웠어요. 할아버지를 기리는 의미있는 일을 하자고 일단 재단을 만들었지만, 뭘 할지 정하고 재단을 시작했다기보다 재단을 하면서 뭘 할지 찾자는 거였어요. 전 그때 컨설팅 회사에 다니는 중이었는데, 설립 1년쯤 됐었을때도 재단 차원에서도 너무 많은 선택지 탓에 뭘, 어떻게 할지 모르는 상황이었어요. 기획팀장으로 왔어요. 제 눈엔 재단이 초기 투자를 아주 크게 받은 스타트업으로 보였어요. 굉장히 기금은 크게 있고 할 수 있는 일도 많고 해야할 일도 많은데 아직 뭘 해야할지, 비즈니스모델은 안 만들어진 스타트업요. 배우는 것도 많고 의미도 있겠다라고 생각했어요.”
“진짜 영감을 주는 사람을 많이 만났어요. 살면서 존중하거나 존경할 만한 사람을 많이 만나기 쉽지 않잖아요. 세상을 변화시키는 분들요. 금전적 보상 같은 게 없는데도 사회 변화를 위해 그렇게 노력하시는 분들요. 보석 같은 분들요. 예컨대 이경림 대표가 만든 세움은 재소자 자녀들을 지원하는 곳이예요. 2015년만해도 우리나라에 그런 단체가 없었어요. ‘Not my crime, Still my sentence’라는 문구로 활동하세요. 예를 들자면 생계형 범죄 때문에 아버지가 갑자기 잡혀 들어가요. 보통 그런 분들이 가정 환경 어렵잖아요. 아이들이 미성년자인데 돌봐줄 사람이 아무도 없죠. 몇 개월 부모가 살다오는 과정에서 아이들의 삶이 완전 파괴되는 경우가 많아요. 주변에 아는 아저씨한테 맡겼는데 그 아저씨한테 성폭행을 당했다든지, 이런 식으로요. 우리 사회에 가장 취약한 지점에 있는 아이들인데도, 실태조사조차 없었어요. 세움이 변화를 만들었습니다. 국내 교도소에도 아동 친화적인 접견소가 생기고 있어요. 재소자 자녀들 전수조사도 하고요.”
아산나눔재단은 마루180과 마루360이란 건물 공간을 스타트업 입주사에 거의 무료로 주죠. 왜요?
“스타트업은 그러니까 영리 창업가든, 비영리 창업가든, 사실 창업의 여정이라는건 고통이잖아요. 예전에 마루180에 망고 플레이트와 센드버드가 입주해 같은층을 썼던 시절이 있었거든요. 진짜 일주일에 100시간씩 일하는 창업팀이었어요. 두 창업팀이 새벽 3~4시에 누가 불 더 늦게 끄고 가는지 경쟁했었어요. 서로 옆 자리였거든요. 창업 기업은 다 자원이 희소하잖아요. 창업팀이 모두 한마음으로 하지 않으면 안되니까, 그런 문화가 소중하잖아요.
기본적으로 창업은 영혼을 갈아넣는 것 같습니다. 투자자들은 거기에 배팅하고요. 아산나눔재단은 커뮤니티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저희 공간에 입주한 창업팀들이 심리적인 위안과 안정을 받았으면 합니다. 마루180을 졸업한 알럼나이(동문) 분들한테도 항상 물어봐요. 이 공간에서 어떤 혜택을 받았는지 하고요. 나 혼자 이렇게 늦게까지 이러는 게 아니라는 걸 바로 옆에서 눈 앞에 바로 볼 수 있는 거잖아요.”(@아산나눔재단의 입주사였던 센드버드는 2021년 유니콘 기업이 됐음)”
“글로랑이라는 창업팀은 본래 유학생을 위한 플랫폼 기업이었는데 코로나 팬데믹에 비즈니스가 완전히 망가졌죠. 직원도 많이 뽑았다가 다 내보냈죠. 피벗을 했어요. 꾸그라는 원격으로 유아 교육하는 곳으로요. 완전 바꾼건데, 그 과정에서 엄청 힘들었거든요. 이분이 남긴 명언이 ‘고통은 나의 힘’이예요. 옆에서 이런 창업가를 돕는 일은 오히려 저희가 사회의 변화를 빠르게 배우고 습득하는 일이었습니다.”

◇페이백이 아닌, 페이잇포워드. 그말 들을때 감사해요.
남 돕는 일은 잘난체한다는 소리듣기 십상입니다. 창업도 안해본 분이 아는체 조언한다는.
“아, 저희는 기본적으로 창업팀에 투자를 직접 하진 않고요. 정주영 엔젤투자기금을 통해 펀드에 출자를 합니다. 벤처캐피털처럼 투자하고 뭔가 직접 관여하는일 없어요. 아산나눔재단의 프로그램이란게 우리가 멘토링하는게 아니라, 그걸 잘할 수 있는 분들과 연결하는겁니다. 저도 사실 그분들한테 조언할 건 아니고 분야별 전문가을 섭외해 연결시켜드립니다. 사실 스타트업은 동료 스타트업이 제일 잘 이해해요. 그래서 마루180과 마루360에서 동료 커뮤니티를 만드는 게 저희 역할입니다. 서로 의지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만들고 그분들끼리 서로 도우면서 성장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주는게, 재단에서 제 역할이라고 생각해요. 제가 자문하거나 조언할 필요도 없고요. "
“아산나눔재단은 지원 대상 스타트업을 뽑을 때 커뮤니티 친화적인지를 굉장히 보거든요. 커뮤니티에 기여할 분인지라는 관점요. 작게는 마루 커뮤니티가 될 수도 있고, 크게는 우리 사회일수도요. 페이잇포워드(pay it forward) 문화를 국내 생태계에 정착시키고 싶어요. (@페이잇포워드는 내가 받은 감사를 또 다른 누군가에게 전하자는 실리콘밸리의 나눔 문화.) 꼭 경제적인 걸 나눈다는것만은 아니예요. 재단의 핵심 가치가 도전, 성장, 나눔인데요. 나눔이라는게 영어로 얘기하자면 디스트리뷰션(분배)은 아니고 셰어링(공유) 관점입니다. 공유 문화를 경험한 분들이 아산나눔재단 입주사를 졸업하고 나가서도 그런 문화를 실천하는 그림을 그려봅니다. 아까 힘들게 코로나 팬데믹을 극복하신 창업자 분도 나중에 제대로 성장하면 본인도 다시 사회에 어떻게 기여할지 잊지 않겠다는 말씀 꼭 하시거든요. 말씀들을 때 너무 감사해요. 아산나눔재단과 함께한 곳이 모두 성공하고 부를 이루고 성취하는 것도 중요해요. 하지만 거기서 끝나면 재단의 활동이란게 약간 허무하지 않을까요.”
건물 이곳저곳에 고 정주영 창업가의 말들이 잔뜩 적혀있습니다.
“할아버지를 기리는 공간이니, 당연히 할아버지에 대한 기억을 담고, 할아버지가 우리 사회에 주고 싶었던 메시지를 어떻게 지금 세대에게도 알맞게 전달할까 고민해요. 그 문구들은 모든 창업가들이 공감할 문구예요. 문구 자체만으로도 창업가 분들한테 되게 위로와 위안이 된다라고 생각해요. 마루를 거쳐간 창업가 분들 중에 카톡 프사(프로필사진)에 문구 사진을 올린 분도 계세요. 얼마 전에 리멤버 최재호 대표님 프사에서도 봤어요.”

“좋아하는 할아버지 문구는 참 많아요. 하나만 꼽으면, 이거요. 작은 일을 소홀히 하는 사람은 큰 일을 할 수 없다. 작은 일에도 최선을 다하는 사람은 큰 일에도 전력을 다한다. 이 문구 되게 좋아해요. 처음에 말씀드렸듯이 저는 5년 후 10년 후를 생각하지 않는 사람이예요. 솔직히 그걸 생각하는게 이상한 것 같아요. 사람은 계속 변하는데 10년 후에 내가 뭘 원할지, 어떤 고민할지 모르잖아요. 할아버지도 처음부터 글로벌 기업을 만들겠다라는 생각으로 현대를 하시지는 않았다고 생각해요. 하루하루 되게 열심히 사셨던 분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저한테 10년후 비전 같은거 물어도 소용없어요.”
그치않아도 중장기 비전 물어보려고 했는데요. 하다못해 다음달 목표라도요.
“다음달 목표요? 올해(2021년 지칭) 출산했거든요. 출산했는데 체중 관리에 실패했어요. 다이어트? 하하. 재단의 큰 방향성은 말씀드렸고, 저희는 하루하루, 어떤 프로그램에 그걸 섬세하게 잘 녹여낼까, 노력합니다. 액션들이 쌓이고 있습니다. 재단이지만 스타트업처럼 일하려고 해요. 임팩트라는것도 하루아침이 아니라, 쌓아가는것 같아요. 영리 사업에 비해 비영리 업(業)이란게 속성 자체가 그런것 같아요. 예를 들자면 영리 기업은 올해 매출을 굉장히 잘 냈는데 내년에 매출 빵이 되면, 그럼 그건 아무 의미가 없는 일이 되잖아요. 회사 그냥 망한 거잖아요. 근데 저희같은 비영리 업은 올해 어떤 프로그램했고 내년엔 잘 못했어도, 그 이전에 축적한 경험이 무의미해지진 않아요. 점점 쌓여갈 수 있는 업요.”

◇MARU180와 시인이 꿈이있던 할아버지 정주영
건물 이름이 마루180, 마루360입니다. 재단 최대 출연자인 아버지(정몽준)가 지은건가요?
“아산(娥山)은 할아버지 아호입니다. 산이죠. 마루엔 여러 뜻이 있는데, 하나는 산마루예요. 큰 산의 마루인거죠. 그래서 아산나눔재단과 마루가 잘 연결되죠. 또 마루는 옛날 가옥에서 가족들이 모이는 곳의 이름이기도 하잖아요. 일을 한창하는 상태라는 뜻도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마루라는 마을을 모여서 서로 교류하고 열심히 해서 높은 산 정상에 올랐으면 좋겠다고, 재단 초대 이사장 정진홍 교수님이 지어주셨어요. 서울대 종교학과 교수님이신데 재단 출범 당시 정신적 지주셨고 할아버지하고도 교류가 있던 분입니다. 할아버지가 예전에 시인이 꿈이었답니다.
여기에 마침 주소지가 180번지였어요. 마루에 오는 팀들은 세상을 180도 뒤집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입니다. 두번째 건물은 그래서 마루360입니다. 180도 뒤집은 팀들이 360도로 뻗어나갔으면 해서요. 안타깝게도 마루360의 주소는 360번지는 아니고요.
정주영 창업가의 젊을때 사진을 걸어두셨네요. 직접 뵌 기억이 있으세요.
“저때만 하더라도 인상이 이렇게 진하셨는데 연세드셨을 때 사진은 훨씬 둥글둥글하세요. 젊은 시절 모습은 저야 당연히 못뵜죠. 제가 초등학교 때는 할아버지가 선거 나가시고서 그 이후로 너무 고생 많이 하시고 확 힘들어지셨고. 10살쯤 많은 사촌 오빠들은 할아버지하고 여름 휴가도 같이 가고 그랬는데, 저는 사실 왕성하게 활동하시던 모습을 못 뵜어요. 저는 할아버지를 그분이 남기신 책으로 배웁니다. 아버지를 통해서 할아버지가 이랬다고 들은 걸로도 배우고요.”
“할아버지는 우리 사회에 어떤 메시지를 주고 싶으셨을까. 항상 생각해요. 할아버지 자서전을 자주 봐요. 자서전에서 할아버지는 힘들어하는 청년에게 결국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다 이룰 수 있다는 메시지를 주고 싶어서 책을 쓰셨다고 하거든요. 물론 그 시절과 지금은 워낙에 사회가 많이 변했으니까, 하지만 재단의 비전은 할아버지 말씀 그대로예요. 진짜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그럼 이룰 수 있는, 그게 가능하다라고 사람들이 믿게 하는 것입니다. 좋아하는 할아버지 메시지 중에 하나가, 이게 현대중공업 정문에도 되게 크게 써있는 문구인데요, 우리가 잘 되는 것이 나라가 잘 되는 길이며 나라가 잘 되는 것이 우리가 잘 될 수 있는 길이다 예요. 마루에도 붙여놨어요. 제가 붙이자고 했어요.”

◇한 아이의 엄마가 된, 돌림자 ‘이’를 쓰는, 키다리 이모
정남이 이사님, 한글이름은 아니죠? 한자 뭘 써요.
“남녁 남(南)에 저 이(伊)요. 원래 우리나라에 여자 돌림자는 없잖아요. 근데 여자 돌림자를 중간에 갑자기 썼어요. ‘이’자가 돌림자예요. 처음에는 없었어요. 사촌 언니 중 첫째 언니때는 안 썼는데요. "
스타트업계에서 엄청 인지도가 높아요. 기억하기 쉬운 이름 덕분일까요? 큰 키 덕분일까요.
“키가 커요. 어렸을 때부터 되게 고민했던 게 사람들이 저를 너무 잘 기억을 하는 거예요. 안 좋았어요. 왜냐면 배경도 좀 특이한 데다가 딱 신체적인 캐릭터도 분명하다보니..., 사실 다들 똑같은 교복입고다니던 어릴때는 어디가서 잘못해서 도망가거나 이래도 뒷모습만 보면 누군지 모르잖아요. 근데 전 다들 누군지 알아봐요. 키가 커서요. 좀 억울하다고는 생각했어요. 키는 물어보셔도 대답 안 할겁니다.”
“인지도는 재단 많은 분들이 오랜 기간 참 열심이었으니까, 아닐까요. 재단에 계시는 구성원 분들도 그렇고 다들 사심 없이 일할 수 있는 조직입니다. 밖에서도 그런 대목을 좋게 봐주시는것 같아요. 재단의 이상은 우리 커뮤니티에 계신 창업팀들을 응원하고 지지하는겁니다. 저희는 스타트업 창업팀에겐 약간 엄마는 아빠는 아니고, 삼촌이나 이모같은 존재가 되고 싶어요. 엄마 아빠처럼 직접적인 케어는 안 해주지만, 가끔 만나면 용돈도 주고 밥도 사주고요. 괜찮아, 너 잘하고 있어, 라구요. 잔소리는 막 그렇게 안하고요.”
베인앤컴퍼니 출신이죠?
“컨설팅 기업에는 2010년 여름부터 12년 12월까지 일했으니까 2년 반 있었습니다. 솔직히 안 힘들었다면 말이 안 되고 주당 100시간씩 일하는데, 은근히 그걸 자랑하는 문화예요. 100시간씩 찍었다고 표현하는데, 그만큼 내가 체력도 되고 능력도 되는 사람이다라는 식이죠. 잠을 못 자니까 힘들죠. 새벽 3~4시까지 일하고 집가서 씻고서만 돌아오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근데 진짜 고생하신 분들 많아서, 제가 힘들다고 하면 안될듯요. 컨설팅업계의 호러 스토리 많죠. 엄청 힘든 클라이언트와 일하다 스트레스와 피로에 눈이 안 보여서 실려 갔다더라라는. 솔직히 저는 그 정도는 아닙니다.”
“겨울에 새벽 3시쯤 퇴근했는데, 그때 친정이 평창동입니다. 경사진 곳이죠. 폭설이 내린거예요. 택시 타고 왔는데 못 올라가고 중간에 내렸어요. 새벽에 랩탑 짊어지고 미끄럽고 위험해서 담을 잡고 클라이밍하듯이 올라갔어요. 겨우 현관 도착했다고 안심하고 걷다가 완전 심하게 미끄러진 거예요. 안 다칠려고 그렇게 고생고생 올라갔는데 다 와서 엉덩방아를 진짜 크게 찍고 나서 그땐 서러워서 눈물이 나왔어요. "
“한번은 프로젝트 막판인데 감기가 심하게 걸렸어요. 신종플루 유행할때요. 약간 과장하자면, 프로젝트 인터뷰하다가 중간에 기침이 너무 심해서 화장실 가서 기침하다가 다시 들어가고. 화장실갔는데 기침하는데 피가 나와요. 근데 병원갈 시간이 없어요. 프로젝트 마지막날, 보고끝나고 그제서야 병원에 갔는데 신종 플루라고요. 웃겼던게 프로젝트 끝났다고 팀장이 비싼데서 저녁사주는데 사람들은 무용담처럼 얘기해요. 저 말고도 많은 사람들이 걸렸는데도 아무도 병원 안 갔거든요.”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년 대기는 기본” 공급 더딘 반도체 장비에 애타는 삼성·SK하이닉스 (0) | 2022.02.07 |
---|---|
NFT 알아야 돈번다…빅테크도 게임회사도 “닥치고 NFT” (0) | 2022.02.07 |
서학 ‘대왕개미’는 50대 남성… ‘스파이’만 빼고 (0) | 2022.02.05 |
음원시장 판도 바꾸는 사람들...임영웅 대신 전인권 노래 산 이유 (0) | 2022.02.05 |
주택 공급, GTX 확장 ‘묻지마 재탕’…실현 가능성 떨어져 (0) | 2022.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