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공항버스·자율주행 배송·차량 정비… 바퀴 달린 모든 것을 공략한다

황태자의 사색 2022. 4. 4. 09:25
728x90

공항버스·자율주행 배송·차량 정비… 바퀴 달린 모든 것을 공략한다

카카오·티맵·쏘카, 모빌리티 신사업

입력 2022.04.04 03:00
 
 
 
 
 

택시 호출, 차량 공유가 주력이던 국내 모빌리티 3사가 올 들어 로봇·자율주행 같은 신사업을 내세워 본격적인 영역 확대에 나섰다. 택시 호출 1위 카카오모빌리티는 연내 로봇 배송을 시작하고, 내비게이션 1위 티맵모빌리티는 유인 자율주행 공항버스를 선보인다. 차랑 공유 1위 쏘카는 롯데에서 유치한 1800억원을 실탄 삼아 주차장, 차량 정비 시장으로 공격적인 몸집 키우기에 돌입한다. 예약·호출부터 유지 관리까지 앱 하나로 해결하는 기존의 ‘수퍼 앱’을 추구하면서도, 경쟁사와 차별되는 특색 있는 서비스로 이용자 확대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3사 3색 모빌리티 신사업

티맵모빌리티는 해외여행이 재개되는 시기에 맞춰 공항버스 시장을 공략하고 나섰다. 우선 공항고속도로와 올림픽대로 등 잠실~인천공항 노선의 80% 구간에서 유인 자율주행 버스 서비스도 연내 목표로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또 공항버스-비행기-현지 우버 택시를 하나의 앱으로 이용하는 글로벌 앱으로 거듭나기 위해, 공항버스 업체 서울공항리무진과 공항리무진을 총 1979억원에 최근 인수했다. 티맵모빌리티 관계자는 “티맵 앱에서 공항버스의 원하는 시간대와 좌석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하고, 우버 택시와 환승 할인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했다. 공항버스는 카카오가 아직 진출하지 않은 영역으로, 호출 서비스 종류가 부족한 티맵으로선 ‘비장의 카드’인 셈이다. 티맵모빌리티는 친환경 신사업도 강화한다. 티맵 앱으로 결제할 수 있는 방문 이동형 충전 서비스를 연내 도입하고, 티맵 내비 안전운전으로 확보한 친환경 포인트를 앱 내 서비스 결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연내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지난해 퀵서비스와 택배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라스트마일(상품을 소비자에게 배송하는 마지막 단계)’ 물류 시장에 뛰어든 데 이어 이제 차량이 다니기 힘든 골목길이나 아파트 단지 안에서 로봇 배송 활용해 점주들의 배달 인건비 부담을 줄이겠다는 것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다양한 자율주행 로봇들을 한 앱에서 호출하고 콘트롤하는 서비스를 연내 선보이겠다”고 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상반기 내 반려동물과 함께 탈 수 있는 펫택시를 출시하고, 전기차 충전기 사업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현재 7000대 수준인 전기 택시를 연내 1만대까지 늘리고 카카오T 앱으로 결제하는 전기차 충전기를 4만곳까지 확보하겠다”며 “이후 충전소까지 최적 경로 탐색, 충전기 예약 같은 서비스도 도입할 것”이라고 했다.

 

3사 중 유일한 스타트업인 쏘카는 현대차·롯데와 잇따라 손잡고 본격적인 몸집 키우기에 나섰다. 지난달 롯데렌탈로부터 1832억원 투자를 유치했고, 현대차·현대글로비스와는 커넥티드카와 물류 분야 신사업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차량공유·전기자전거·주차·기차·항공 같은 새로운 모빌리티 서비스를 연결하는 ‘수퍼 앱’ 전략을 실현시키겠다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쏘카가 롯데렌탈과 손잡고 중고차 판매, 차량 정비, 세차 같은 차량 관리 서비스에 진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쏘카 상장 추진, 선거판 변수도

카카오모빌리티와 쏘카는 올해 기업공개도 추진한다. 요금 인상 논란과 택시업계 반발로 지난해 상장을 보류했던 카카오모빌리티는 올해 하반기 상장을 목표로 관련 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발표한 수천억원 규모의 택시업계와 상생안을 본격 시행하면서 여론 달래기에도 나섰다. 시장에서 예상하는 카카오모빌리티의 기업가치는 6조~7조원이다.

쏘카는 오는 6월 상장을 목표로 현재 상장 심사 과정을 밟고 있다. 쏘카는 적자를 보던 대형 택시 호출 서비스 자회사 타다를 지난해 토스에 매각했다. 최근 유치한 투자금과 상장 이후 조달한 자금으로 카카오·티맵과 제대로 경쟁하겠다는 것이다. 한편 모빌리티 업계에서는 오는 6월 전국지방선거가 시장 성장의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첫 선거에서 정치권이 표심을 위해 모빌리티 플랫폼 규제안과 공공 택시앱 같은 공약을 밀어붙일까 우려되는 측면이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