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소연의 시적인 순간] 보이지 않는 것들을 보는 방법
입력 2022.04.15 17:13 수정 2022.04.16 00:08 지면 A26
나비떼로 향기를 그린 북송 화가
인동덩굴 속 참새떼 짐작한 시인
마스크 쓴 얼굴 알아본 책방주인
아름다움에 스며들고픈 마음 충만
이소연 시인
인동덩굴 속 참새떼 짐작한 시인
마스크 쓴 얼굴 알아본 책방주인
아름다움에 스며들고픈 마음 충만
이소연 시인

찰스 스키너는 ‘식물 이야기 사전’에서 식물에 얽힌 설화나 전설들이 식물을 더욱 매력적이게 만든다고 말하며 이렇게 썼다. “우리가 물질적이고 지루한 시대에 살고 있다고들 하지만, 지금도 순수하고 사랑스러운 상상력을 지녔던 시대와 완전히 단절되지는 않았다.” 나는 반문했다. 내가 물질적이고 지루한 시대에 살고 있는 걸까? 아닌데? 하나도 안 지루한데? 그리고 지금 이 시대의 상상력이 어때서? 책방 사람들이 보여주는 놀랄 만큼 독특하고 멋진 상상력을 몰라서 하는 소리다.

이병일 시인과 방학천 철제다리 밑 인동덩굴이 뭉쳐진 곳을 지날 때였다. 귀가 가득 차도록 들려오는 참새 소리에 내가 물었다. “근데 참새가 한 마리도 보이지가 않네?” 그가 손끝으로 인동덩굴을 가리키며 대답했다. “겉만 보니까. 그렇지. 안을 들여다봐.” 아무래도 참새가 있을 것 같진 않았다. 조금은 성가신 마음으로 덩굴 가까이 다가가 들여다보는데 깜짝 놀랐다. 정말 덩굴 안이 참새들로 붐볐다. 참새들은 이 촘촘한 덩굴 속으로 어떻게 숨어들었을까? 부리로 깃을 정리하는 참새도 있고, 친구 참새가 한 뼘 옆으로 달아나면 포르르 한 뼘 따라가는 참새도 있다. 소리가 보이기 시작했다.
중국 북송 황제 휘종이 궁중의 화가들에게 ‘말발굽에 묻은 꽃향기’를 그리라고 했다. 눈에 보이지도 않는 꽃향기를 어찌 그리란 말인가. 화원 하나가 말발굽을 쫓아가는 나비 떼를 그린 그림이 휘종의 마음을 흡족하게 했다고 한다. 누군가 내게 참새 지저귀는 소리를 그리라고 하면 인동덩굴을 가득 그려 놓으면 될까? 휘종이 깊은 산속에 감춰져 보이지 않는 절을 그리라고 하는데도 많은 화가가 눈에 보이는 절을 그리는 데 집착했다고 한다. 그 마음도 이해가 간다.
내가 말하지 않아서 알아주지 않으면 어떡하지? 그럴 땐 결심이나 용기가 필요하다. 누군가는 내 의도를 정확히 읽어 내리라는 기대 속에서 과감히 생략하는 용기 말이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지 않는 상태로 둘 수 있는 사람만이 그릴 수 있는 것이 있다. 이를테면, 절을 그리는 대신 물동이를 이고 산길을 오르는 스님을 그린다면 가까운 곳에 절이 있음을 말해주지 않을까.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방법을 알게 되니 아름다운 것에 스며들고 싶은 마음이 충만해진다.
2014년 한국경제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했으며, 쓴 책으로는 시집 《나는 천천히 죽어갈 소녀가 필요하다》와 생태에세이집 《고라니라니》가 있다. ‘켬’ 동인으로 활동 중이다.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 지도층 소박한 패션, 대중들 ‘쇼핑중독’ 막는다 (0) | 2022.04.16 |
---|---|
영화관 팝콘 돌아온다…NEW·쇼박스 '기지개' (0) | 2022.04.16 |
북극곰 만날까봐 총 들고 출근합니다…이 남자의 직업은 [인터뷰] (0) | 2022.04.16 |
저승에 '사람 살리는' 기업이 있다고요? (0) | 2022.04.16 |
[역사 속 명저를 찾아서] 난중일기, 번뇌하는 인간의 기록 (0) | 2022.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