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 세계에 딱 세 자루'…프란치스코 교황도 반한 한국 볼펜
입력 2022.05.05 15:57 수정 2022.05.06 02:10 지면 A18
올 댓 프로덕트
세상을 바꾼 제품들
'쓰는 것의 혁명' 가져왔다
'국민 볼펜' 모나미153의 탄생
만년필이 주류였던 60년대
'필기구 혁명' 이끌어내
60년 누적 판매량 44억개
세상을 바꾼 제품들
'쓰는 것의 혁명' 가져왔다
'국민 볼펜' 모나미153의 탄생
만년필이 주류였던 60년대
'필기구 혁명' 이끌어내
60년 누적 판매량 44억개

“무(無)에서 有(유)를 창조하는 도전정신으로 세상에 없는 제품을 개발하자.”
쓸 것의 혁명 가져온 ‘모나미’
모나미가 세상에 나오는 데는 꼬박 1년의 시간이 걸렸다. ‘모나미’는 프랑스어로 ‘내 친구(mon ami)’라는 뜻. 모나미153이란 이름은 사내 공모로 정해졌다. 당시 회사에 학교에서 프랑스어를 배운 직원들이 많아 모나미란 말이 친숙했다. 모나미153 한 자루의 출시 당시 가격이 15원이었던 점과 물감, 파스에 이어 이 회사의 세 번째 상품이라는 뜻을 담아 ‘153’을 뒤에 붙였다.
제품을 개발하는 데 볼펜 팁(볼펜 앞쪽의 뾰족한 부분)과 금속 구를 정밀 가공하고 잉크의 점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등 예상보다 훨씬 높은 기술력과 노하우가 요구됐다. 송 명예회장을 비롯한 임직원들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연구개발에 몰두하며 장애물을 하나씩 뛰어넘었다.검은색과 흰색이 조합된 육각 형태의 간결한 디자인이 특징인 모나미153은 회사의 상징이자 사무용품의 대명사가 됐다. 모나미의 전신인 광신화학공업은 모나미153의 성공에 힘입어 1974년 증권거래소에 상장, 사명을 아예 모나미로 바꿨다. 1978년 모나미153의 한 해 판매량은 12억 자루에 이를 만큼 전성기를 달렸다. 지금까지 ‘국민 볼펜’ 자리를 지키며 최근 누적 판매량 44억 개에 육박하는 스테디셀러로 등극했다.
로마 바티칸에도 모나미 볼펜이

153 피셔맨
블랙&화이트 모나미는 잊어라
모나미의 혁신 DNA는 현재진행형이다. 모나미153 디자인을 모티브로 디자인과 성능을 업그레이드한 제품을 개발 중이다. 8년 전 니켈과 크롬을 입힌 메탈 보디를 적용한 ‘153 리미티드’를 시작으로 모나미153의 디자인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고급 볼펜 ‘153 아이디’(2014년), 다양한 색상으로 개성을 강조한 ‘153 네오’(2015년) ‘153 네온’(2020년), 3·1절을 기념해 출시한 ‘153 ID 안중근’ ‘153 ID 이육사’(2021년) 등 프리미엄 모나미 볼펜만 20여 종에 달한다.엄마 아빠의 필기구였던 모나미는 요즘 MZ세대(밀레니얼+Z세대)가 더 열광한다. 1963년 서울 성수동 공장에서 탄생한 모나미의 역사를 담아 지난 2월 성수동에 ‘모나미 팩토리’를 주제로 모나미스토어를 공개하기도 했다. 공장 콘셉트를 살려 브릭, 우드, 메탈 소재를 사용했다. 이곳에선 잉크 랩을 통해 다양한 색상의 잉크를 조합, 나만의 만년필 잉크 DIY 체험을 해볼 수 있다. 완성된 잉크 레시피는 나만의 이름을 붙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두고 그 컬러를 언제든 추가로 살 수 있다.
모나미는 다른 분야와 협업도 활발히 펼치고 있다. 글로벌 하이패션 브랜드 아더에러와 협업한 ‘블루 펜’ 프리미엄 에디션은 무광 메탈 소재의 모나미153에 아더에러의 시그니처 색상인 제트블루를 적용했다. 정보기술(IT) 액세서리 전문기업 엘라고와 협업한 ‘모나미×엘라고 애플펜슬2 케이스’는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조화를 추구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텅 비우니, 통 하더라 세계 홀린 단색화 (0) | 2022.05.06 |
---|---|
한가로이 거닐고, 사색하니…'주말 선비' 된 듯 하오 (0) | 2022.05.06 |
흰 담비 품은 우아한 여인…아름다움에 생동감을 불어넣다 (0) | 2022.05.06 |
[카페 2030] 주사기 없는 세상이 온다면 (0) | 2022.05.06 |
[유현준의 도시 이야기] ‘불통’ 청와대 ‘시위’ 광화문 넘는 새로운 공간의 시대 (0) | 2022.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