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한가로이 거닐고, 사색하니…'주말 선비' 된 듯 하오
입력 2022.05.05 16:00 수정 2022.05.06 02:09 지면 A17
딱 1박2일이면 충분! 영주 '사유의 여행'
퇴계가 학문 논하던
소수서원에서 사색
선비촌 고택 체험하고
금선정 계곡 위 명상
무섬마을 사대부 가옥
외나무길에서 하룻밤
나랏일 고심하던 부용대
영주와 낙동강 한눈에
퇴계가 학문 논하던
소수서원에서 사색
선비촌 고택 체험하고
금선정 계곡 위 명상
무섬마을 사대부 가옥
외나무길에서 하룻밤
나랏일 고심하던 부용대
영주와 낙동강 한눈에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인 경북 영주 ‘소수서원’
조선 명종 때 풍수학자인 격암 남사고(南師古) 선생이 영주 소백산을 보고 말에서 내려 절하며 “이 산은 사람 살리는 산”이라고 했다는 건 잘 알려진 일화다. 소위 기 받는 풍수 명당이라는 뜻인데, 귀가 얇은 탓인지 그 말 듣고 난 뒤로 일이 잘 안 풀리거나 기력이 심히 쇠했다 싶을 때 영주 땅 한 번 밟고 나면 만사형통의 기운이 온몸에 샘솟는 것 같은 느낌도 든다.

퇴계의 기운 서린 곳 소수서원
소수서원 초입에 봉긋 솟은 둔덕은 마치 거북이 알을 품은 형상이라 해 영귀봉(靈龜峰)이라고 이름 붙은 명당이다. 소수서원 둘레에는 퇴계 이황이 유생들과 함께 거닐며 학문과 글을 논하던 솔숲에 노송이 줄지어 서 있다. 천천히 걷고 생각하기 좋다. 둘레길은 취한대~광풍대~소수박물관~영귀봉~소혼대를 잇는 약 1.3㎞ 구간이다. 1550년(명종 5년) 소수(紹修)라 이름 짓고, 명종이 직접 쓴 글을 현판에 새겨 하사한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이라 의미가 더 깊다.
고택 감상에 전통 문화체험 선비촌
소수서원에서 다리 하나 건너면 선비촌이다. 일종의 테마공원으로 조선시대 선비정신과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고택과 체험 시설이 가득하다. 영원군수 두암 김우익 선생의 두암고택이나 사헌부 감찰을 지낸 인동 장씨 장말손의 종택인 인동 장씨 종택 등은 선비촌에서 가장 규모 있는 조선시대 가옥이다.
계곡 위 정자서 명상 금선정

물 위에 떠 있는 듯한 ‘무섬마을’
매력적 한옥 스테이 무섬마을

환상적인 아침 산책 영주호

생태관광지로 바뀐 ‘영주호’
시내가 한눈에 부용대
시내에 있는 관사골벽화마을 언덕에 부용대란 이름의 정자가 나온다. 부용대는 조선시대 일종의 회합인 부용계가 모이던 장소. 조선 인조 14년(1636), 영주에 사는 과거급제 인사 55인이 모임을 만들어 나라의 안위를 살피고, 나아갈 방향을 고심한 것이 부용계의 시작이다. 2013년 공원을 조성하며 부용계 비석을 모신 보호각과 부용계를 상징하는 정자를 새롭게 세웠다. 영주의 주산인 철탄산과 시내를 가로질러 흐르는 서천 풍경까지 모두 한눈에 들어온다.글=이선정 여행팀 기자
사진=한경매거진·한경DB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후 자녀 리스크 줄이려면 수학보다 먼저 가르쳐야 할 것 (0) | 2022.05.06 |
---|---|
텅 비우니, 통 하더라 세계 홀린 단색화 (0) | 2022.05.06 |
'전 세계에 딱 세 자루'…프란치스코 교황도 반한 한국 볼펜 (0) | 2022.05.06 |
흰 담비 품은 우아한 여인…아름다움에 생동감을 불어넣다 (0) | 2022.05.06 |
[카페 2030] 주사기 없는 세상이 온다면 (0) | 2022.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