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텅 비우니, 통 하더라 세계 홀린 단색화
Cover Story
반세기 한국미술 혼 담긴 Dansaekhwa
반세기 한국미술 혼 담긴 Dansaekhwa

한국 단색화는 이 한 문장으로 표현된다. 우리 단색화가 세계 미술계에서 하나의 장르로 인식된 건 이제 약 10년. 단색화는 원래 영어의 모노크롬(monochrome)을 한글로 옮긴 것에 불과했다. 그동안 단색조 회화, 한국의 모노크롬, 한국적 미니멀리즘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지난 10년간 한국 단색화의 예술적 가치는 뒤늦게 다시 평가받았다. 이제 단색화는 한국을 대표하는 미술 장르이자 하나의 고유명사가 됐다. 세계 어디를 가도 미술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I love Dansaekhwa(단색화). 박서보 정상화 하종현…”이라고 똑똑히 말한다. 지난달 베네치아비엔날레에서 만난 미국 뉴욕현대미술관(MoMA) 이사이자 이름난 ‘큰손’ 컬렉터 론티 이버스 아만트재단 대표도 그랬다.
50년이 걸렸다. 단색화가 단색화로 불리기까지. 한국 단색화는 하나의 혁명이었다. 1970년대 정부 주도의 국전을 거부하고 ‘아방가르드’를 이끈 일련의 전위부대 작가들에 의해 시작됐다. 이는 어떤 동일한 목적의식을 가진 미술운동 차원이 아니었다. 화가 각자가 자신만의 형식으로 작품 행위를 했다. 내용과 주제, 선, 형태를 모두 거부했다. 애초에 형식과 질서를 추구하는 전통적 미술에 대한 반발로 시작됐다. 그들은 아무리 비판해도 생각을 굽히지 않았고(정상화), 안 팔려도 죽어라 그렸다(하종현).
1970년대부터 지금까지 한국 단색화를 세계 무대에 올려놓은 1세대 단색화가 박서보 화백은 그래서 위대하다. 그가 “그 오랜 시간 단색화의 중심을 잡아준 덕분”(이우환)에 일본을 시작으로 세계 미술계에 한국의 정신을 알릴 수 있었다. 90세를 넘긴 박 화백을 그의 자택이자 작업실인 서울 연희동 ‘기지’에서 만났다.
인터뷰 - 박서보 화백
대한민국 1세대 단색화 거장…"단풍色 화폭에 담으니, 새가 날아와 쪼아먹더라"
“혹시 손상된 그림을 복원해줄 수 있겠습니까. 실례인 줄은 압니다만….”대한민국 1세대 단색화 거장…"단풍色 화폭에 담으니, 새가 날아와 쪼아먹더라"

김범준기자
지난달 서울 연희동 기지재단에서 만난 박 화백은 최근 겪은 일화로 말문을 열었다. 나무 벽화가 얼마나 사실적인지 새들이 부딪혀 죽었다는 통일신라시대 화가 솔거를 떠올리게 하는 이야기다. 게다가 박 화백의 작품은 뚜렷한 형태가 없는 추상화.
“기꺼이 수리해준다고 했어. 새를 속이다니, 그 누구의 칭찬보다 기분이 좋아.”
비움·체념·수행, 단색화를 만들다
수행하듯 연필로 무수히 반복해 선을 그리는 박 화백의 ‘연필 묘법’ 연작은 그의 대표작이자 단색화 초기를 상징하는 작품이다. 그의 그림 중 최고가 작품도 연필 묘법이다. 1976년작 ‘№ 37-75-76’은 2018년 홍콩 크리스티경매에서 200만달러(약 25억원, 낙찰수수료 포함)에 팔리며 화제를 모았다.

새가 날아와 쪼아먹고 간 ‘묘법 No.110820'
“아버지가 독실한 불교 신자셨어. 좋은 예술가가 뭔지 승려에게 한번 물어보고 토론해야겠다 싶었어.”
첫 대화는 실망스러웠다. 김일엽은 ‘수신(修身)하라’ ‘자신을 비우라’는 선문답을 이어갔다.
“이 사람도 엉터리구나 싶더라고. 그래서 곯려줘야겠다는 생각으로 ‘당신은 부처님을 자주 만나냐’고 물었어. 그런데 돌아온 답이 ‘자주 만나는데 그게 나였다’는 거였지. 머리가 띵했어. ‘결국 답은 내 안에 있다’는 결론을 내렸지.”
하지만 이때의 깨달음을 화폭에 구현하는 건 쉽지 않았다. 12년이 흐른 뒤에야 그 방법을 잡아낼 수 있었다. “네 살배기 둘째가 형이 글씨를 쓰는 걸 보고 흉내를 내더라고. 방안지 칸에 글자를 적으려는데 아무리 해도 안 되는 거야. 제풀에 화가 나서 종이에 마구 연필을 휘갈기더라고. 이게 바로 체념의 몸짓이구나, ‘비움’이구나 싶었어.” 그렇게 ‘전설’은 시작됐다.
서양 미술사에 없던 ‘수렴의 미술’
문화권이 다른 서양에서도 단색화가 인기를 끄는 이유를 물었다. 박 화백은 “단색화가 서양 미술계에 없었던 ‘수렴의 미술’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설명을 정리하면 이렇다. 서양 미술은 ‘인간 중심적 사고관’에서 출발한다. 그 핵심은 원근법이다. 중세 화가들은 원근법을 무시하고 신이나 예수, 성모를 더 크게 그렸다. 신이 모든 것의 중심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르네상스 화가들은 ‘멀리 떨어지면 작게 보인다’는 인간의 시각으로 그림을 그렸다. 이후 자신의 생각과 관점을 작품에 표현하는 풍조가 자리잡으면서 인상주의를 비롯한 수많은 미술 사조가 태어났다.동양은 인간을 자연의 일부로 봤다. 인물화나 초상화가 아니라 산수화가 동양 미술의 주류인 이유도 여기에 있다. 예술은 수신(修身)의 수단이었다.
“선비가 사군자를 치는 것처럼, 단색화는 자기 안으로 수렴하는 수신의 예술이야. 20세기까지 세계를 호령하던 서양 미술은 ‘발산의 미술’이고. 서양 시각에서는 단색화의 정신이 참신하게 느껴질 수밖에 없지.”
"80세까진 나도 안팔리던 화가…세상 알아줄 날 꼭 온다"

이렇게 만들어낸 ‘수렴의 예술’은 보는 이의 고통과 번뇌를 빨아들인다는 게 박 화백의 설명이다.
“그림은 보는 사람의 괴로움을 ‘흡인지’처럼 빨아들이는 역할을 해야 돼. 특히 21세기처럼 스트레스가 많은 시대에는 더욱 그렇지. 이럴 때 서구의 파괴적인 작가들의 작품을 집에 걸어놓는 건 스트레스를 자초하는 일이야. 프랜시스 베이컨(1909~1992)을 봐. 그게 어디 그림인가, 폭력이지. 하하.”
다만 아무 단색화나 ‘흡인지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단색화에서 가장 중요한 건 색이야. 색에 정신의 깊이가 담겨야 해. 예컨대 내 거무스름한 그림은 그냥 검은 색과는 달라. 평생 부엌에서 나무를 때고 밥을 하신 어머니를 생각하며 그렸어. 그 연기가 수십 년 쌓여 천장과 벽, 서까래에 거무스름한 자국을 남겼지. 그 색을 그림에 담은 거야.”
2000년 박 화백이 ‘자연색의 아름다움’을 재발견한 뒤 시작한 ‘컬러 묘법’ 연작도 마찬가지다. 그는 “단색화에서 가장 중요한 건 색”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나는 관념적인 색이 아니라 자연의 색을 그대로 담았어. 단풍이 절정에 달했을 때 시간과 빛의 각도, 공기에 따라 달라지는 색을 유심히 관찰한 뒤 수없는 시행착오를 거쳐 있는 그대로의 색을 재현하는 식으로. 나는 그걸 ‘그림 속으로 색을 유인한다’고 불러.”
“용기 잃지 마라, 언젠가는 알아준다”
박 화백은 부잣집에서 태어났다. 하지만 그의 삶은 순탄치 않았다. 대학생 시절 6·25전쟁이 터졌고, 부친이 갑자기 작고하면서 가세가 크게 기울었다. 인민군 치하의 서울에서 고향에 가기 위해 한강을 건널 때, 인민군 선무공작대에 끌려가 공산주의를 찬양하는 연극의 무대미술을 할 때 등 죽을 고비도 여럿 넘겼다. 전후에는 반도호텔에서 미군 얼굴을 그려 팔면서 학비와 생활비를 벌었다. 그는 “이때 고생이 예술을 성숙시키는 데 도움이 됐다”고 회고했다.

“김창열, 이우환과 달리 내 작품은 늘 찬밥이었어. 외국에는 이름이 잘 알려지지 않았거든. 1975년 미국 진출, 1977년과 1996년 프랑스 진출 등 기회가 많았지만 다 걷어차 버렸어. 한국에서 태어나서 공부하고, 단색화 운동을 해서 세계화를 시켜야 의미가 있다고 생각했지. 그림이 안 팔려도 ‘반드시 내 시대가 온다. 지금 세상이 나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뿐이다’고 확신하면서 죽자사자 그렸어. 결국 팔순을 넘어 세계 미술계에서 단색화의 대표 작가로 인정받게 됐지.”
돈이 생기자 그는 기부 행보를 이어가기 시작했다. 올초 후학 양성을 위해 박서보예술상을 제정해 광주비엔날레에 100만달러(약 13억원)를 기부했고, 최근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는 5000만원을 건넸다. 지난달에는 경북 울진, 강원 삼척 등지의 산불 피해 복구를 돕기 위해 서울옥션 자선경매에서 판매한 50호 묘법 판화의 수익금 1억원을 기부했다.
“그림이 돈으로 보이면 타락해. 그래서 필요한 것만 남겨두고 기부하기로 했어. 우크라이나에 기부한 건 전쟁 때 겪은 참혹한 고생이 생각나서야.”
‘지칠 줄 모르는 수행자’
2019년 국립현대미술관은 박 화백의 회고전을 열며 ‘지칠 줄 모르는 수행자’라는 전시 제목을 달았다. 그 말대로 박 화백은 결코 작업을 멈추지 않는다. “베네치아에서 열린 전시에 2019년부터 3년간 작업한 200호 대작(그림⑤)을 걸었어. 작업 기간 내내 여기저기 쥐가 나는 바람에 잠도 제대로 못 잤지. ‘동전 파스’ 덕분에 그나마 버텼어. 작업 중 쓰러져 바닥에 얼굴을 찧은 적도 있어. 지금 끼고 있는 물소 뿔 안경테 덕분에 살았지. 보통 안경이었다면 부러져서 실명했을 거야.”인터뷰 말미에 박 화백은 칠순 기념 출판기념식 때 했던 연설을 떠올렸다.
“지난날 나는 ‘앞에 가는 똥차 비키시오’ 하고 선배들을 향해 소리쳤습니다. 똑같은 후배들의 말이 지금 부메랑처럼 돌아오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나는 비켜설 의향이 없습니다. 자신 있거든 추월해 가시구려.”
20여 년이 지난 지금, 그는 이 말을 덧붙이고 싶다고 했다.
“아직도 할 일은 많은데 해는 저물어 갑니다. 저물라면 저물어야죠. 하지만 나는 나대로 인공조명을 비춰서라도 끝까지 내 할 일을 하겠습니다.”
베네치아=성수영/김보라 기자 syoung@hankyung.com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사는 이야기] 세종·이순신과 국민통합 (0) | 2022.05.07 |
---|---|
노후 자녀 리스크 줄이려면 수학보다 먼저 가르쳐야 할 것 (0) | 2022.05.06 |
한가로이 거닐고, 사색하니…'주말 선비' 된 듯 하오 (0) | 2022.05.06 |
'전 세계에 딱 세 자루'…프란치스코 교황도 반한 한국 볼펜 (0) | 2022.05.06 |
흰 담비 품은 우아한 여인…아름다움에 생동감을 불어넣다 (0) | 2022.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