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구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투자 맛집 tv의 손영탁 나신애 입니다. 연금 맛집 시리즈 연금 셰프를 찾아서 오늘 모실 셰프님은 엄청난 성공을 거둔 코리아 펀드의 주인공 동학개미운동의 시초이자 한국 개미들의 멘토시죠 존봉준이라고 불리는 존리 대표님을 모셨습니다. 이제 tv에도 자주 나오시고 유명 인사가 되셨잖아요.
존리~ 식당 같은 데 가면 목소리 듣고 마스크 때문에 잘 안 보이잖아요. 목소리 듣고 주방에 계시는 분이 나오셔서 노후 준비 시작했다고 근데 그런 걸로 굉장히 뿌듯하죠.
질문~그 찐팬 중에 한 분이 왼쪽에 계신 나신애 아나운서인데 질문할 게 너무 많다고 하더라고요 네 찐팬이니까 정말 찐팬이어서 방송을 거의 다 챙겨봤거든요. 얼마 전에 k본부에서 나오셨을 때 제가 정말 인상깊게 봤던 장면이 있습니다. 점심시간 때 사모님께서 싸주신 샐러드 도시락 드시던데 드실 때 좀 옆에 있는 직원분들이 드시고 계시던 햄버거 굉장히 눈독 들이셨거든요. 사모님이 싸주신 샐러드 도시락 대 밖에서 사 먹는 햄버거 대표님의 선택이 좀 궁금해요.
존리~햄버거가 당연히 더 맛있죠 항상 입에 맛있는 거는 몸에 안 좋죠 그건 어쩔 수 없는 거죠. 그러니까 이제 발란스를 맞추는 거죠. 우리 그 노후 준비하는 것도 똑같아요. 내가 사고 싶은 물건을 안 샀을 때 그걸로 투자했을 때 내가 경제적으로 더 부자가 되는 원리하고 똑같죠. 특히 여성들 같은 경우 몇품백 사는 거 대신에 파이네셜 피트니스라고 그래요 피트니스 하면 몸에 건강한 거잖아요. 파이네셜 피트니스는 우리가 몸이 건강해지는 것처럼 내 경제 상태도 건강해야 되잖아요. 똑같은 피트니스라는 말을 써요.
질문~저도 궁금한 게 하나 있는데요. 그 유퀴즈에서 사교육비 쓰는 거를 좀 안 좋게 보셨는데 존리 대표님 자녀분들은 사교육비
존리~그런 거는 할 수가 있죠. 수학이 좀 더 필요하다고 그러면 굉장히 싼 거 그런데 한국은 막 300만 원 버는 사람이 100만 원 그거는 이제 지극히 잘못된 것이죠 인풋 대비 아웃풋이INPUT OUTPUT 있잖아요. 내가 이 100만 원을 썼을 때 기회 비용이라고 그러잖아요. 만약에 주식에 투자했다면 펀드에 투자했다면 나중에 그 아이가 훨씬 더 경제적으로 윤택할 수 있는데 그거를 그냥 다 사교육비를 빼게 되면 이 아이가 나중에 돈이 없잖아요 제애기 같은데 지금 아니요. 아니에요. 그러니까 전반적으로
질문~연금 시장이 요즘 굉장히 뜨고 있다고 들었는데 이 연금이 사실 제 나이와는 아직 좀 먼 얘기 같거든요. 신애 씨 같은 경우에는 저보다 더 어리기 때문에 훨씬 먼 얘기죠 너무 멀죠. 저는 mz 세대들은 좀 여윳돈이 없는데 연금 준비도 꼭 해야 되는 거예요.
존리~그런데 두 분이 내가 나이는 잘 모르지만 절대 빠른 게 아니에요. 그거는 굉장히 잘못된 생각이에요. 왜냐하면 돈이 일하게 하는 것은 길수록 중요하거든요. 하루라도 빨리 시작해야 하는데 먼 얘기라고 얘기하는 건 지극히 잘못생각하는 거예요 입에 풀칠할 돈도 없는데요. 이거 누가 사셨어요. 이거요. 제가 양복을 살 돈은 있으면서 노후 준비할 돈은 없어요. 어쨌든 간에 다 자기는 노후 준비할 돈이 없다고 그러지만 계속 거짓말이에요. 그러면 예를 들어 이백만 원 번다 그러면 이십만 원은 무조건 내가 소비를 하기 전에 지금으로 투자를 시작해 사람들은 거꾸로 하죠. 다 쓰고 나서 여유 자금이 없어요. 그래서 그 순서가 바뀌어야
질문~그러면 월급을 딱 받았을 때 몇 퍼센트
존리~그 나이에 따라 틀리죠 만약에 내가 20대다 그러면 10%만 뛰어도 문제없어요. 이 기간이 길잖아요. 그런데 예를 들어서 30대다 15% 20% 그러니까 일찍 시작하는 게 유리하죠.
질문~연금 종류가 굉장히 많잖아요. 연금 저축 연금 펀드 아이알피 그게 무엇이 다른 거
존리~우리 연금은 세 가지가 있잖아요. 국민연금 그런데 그거 갖고 노후준비 안 돼요 직장에 있으니까 월급 받죠 퇴직연금이 있을 거야 근데 그것만 갖고도 부족하다 정부에서 제도를 또 만든 거예요. 노후 준비를 도와주기 위해서 너 이 펀드에 가입하면 국가에서 도와줄게 세금이 되겠죠. 연금 저축 펀드라는 400만 원까지 투자하게 되면 세금도 환급돼줘요.
그러니까 이거는 무지하게 좋은 제도인데 한국 사람 중에서 이십 퍼센트 밖에 안 하다 이런 좋은 제도를 몰라요 그러니까 연금저축펀드 같은 경우는 누구나 할 수 있어요. 이제 irp 같은 경우는 직장에 예를 들어서 연금 저축 펀드 400만 원 아이 아에 300만 원 하면 700만 원이잖아요. 700만 원에 대한 세금 환급도 해주죠 대신에 이제 조건이 있어요. 55세까지 유지해야 그전까지 유지를 못하게 되면 그러면 이제 그동안 세금 혜택 받은 거 물어내야지 그러니까 더 좋죠 5천만 원 1억 모으면 사람이 또 뭐 해요. 자동차 사고 싶고 그런데 그거를 손해를 보니까 강제가 있으니까 좋지 10년 20년 30년 가다 보면 나중에 그
질문~연금 자산을 펀드 etf 리츠 저축은행 상품 등 다양한 상품을 활용해서 관리를 할 수가 있는데 존리 대표님은 선호하시는 게 어떤 거예요.
존리~그거는 이제 선호도에 따라 틀린데 들이 굉장히 어려워해요. 어느 펀드를 골라야 될까 그래서 우리가 그런 펀드를 만들었어요. 월급쟁이들이 들의 펀드가 셀러리맨 펀드 그 안에 다 들어가 있어요. 그러니까 귀찮게 고르지 말고 그냥 샐러리맨 펀드 하나만 하면 됩니다
질문~연금 투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투자 원칙은 뭐가 있을까요
존리~안 파는 겁니다 그러니까 많은 사람들이 샀다 팔았다 하잖아요. 시장이 또 어려우면 또 팔고 또 다시 들어오고 그 안에 가장 나쁜 투자 투자가가 아니라 영어로 스펙큘레이트라고 투자라는 거는 꾸준하게 갖고 있는 거고 어차피 연금저축 펀드는 팔면 안 돼요 네 그러면 세금 물어내야 됩니다
질문~지금과 같은 금리 상승기에 좀 유념을 해야 할 투자 위험과 그 대응 방안은 뭐가 있나요
존리~대응하는 거 아니다. 대응할 수가 없다. 그럼 어떻게 대응을 해요. 이자가 올라가는 거 내리라고 막 뭐라고 그래요
질문~그럼 그냥 가만히 이렇게 지켜만 보나요
존리~아니지 나는 계속 10%씩 하기로 했잖아요. 내가 예를 들어서 월급이 200만 원이다. 그러면 내가 10% 20만 원 아니에요. 이자율이 올라가건 내려가건 나는 꾸준하게 연금저축 펀드에 셀러리맨 펀드라든가 그 펀드에 그냥 투자하는 거예요. 기계적으로 비가 온다고 회사 안 나가요 일하러 나가잖아 돈도 일하러 가는 거예요. 내가 번드에 투자한다는 거는 내 돈이 일하러 나가는 거예요. 근데 어떤 날은 비가 오고 어떤 때는 해가 쨍쨍 치고 어떤 때는 뭐 눈 부라가 치는데 그냥 기계적으로 하는 거죠. 그냥 삼십 년 있다가 그 돈이 엄청나게 큰 거가 되는 거예요
질문~지금 같은 금리 상승기든 금리 하락기든 상관없이 그냥 위험하든 안전하든 상관없이 그렇죠 꾸준히 자기 습관대로 월급의 몇 퍼센트만큼 꾸준히 한다
존리~자기가 이제 정하는 거죠. 나는 월급의 십 퍼센트는 내가 충분히 할 수 있어 그럼 그 룰을 만드는 거죠그 다음에 이제 라이프 스타일 아까 얘기했듯이 커피 사 먹는 거 좀 줄이고 옷 사이 있는 거 좀 줄이고 백 사는 거 줄고 놀러 가는 거 좀 줄이고 그래서 그거를 꾸준하게 하는 거 꾸준하게 잘 하고 계세요. 그럼 우리 직원들 다 그렇게 하고 있어 그래도 우리 직원들 지금 다 부자해요. 한국의 퇴직연금의 주식 비중의 몇 퍼센트라고 생각하세요. 문제가 심각한 거예요. 전세에서 꼴찌 자기 퇴직연금을 아는 게 노후 준비에 굉장히 중요한 건데 아무도 안 가르쳐줘 여러분들이 investor이 돼야 돼
'스토리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전쟁 꾼] '위대한 기업 반드시 오른다!' 견디기 어려워도 시장 떠나지 말자! (삼프로TV 김동환, 존리, 강방천, 이창훈, 김한진) (0) | 2022.03.19 |
---|---|
주식 사라고만 하던 존리! 한국주식 파는 이유? / 존리 메리츠자산운용 대표 자이앤트TV (0) | 2022.03.19 |
배상환 전무 연금 강의 (0) | 2022.03.16 |
장경동 목사 본문: 마태복음 12:28- 제목: 대립 (0) | 2022.03.13 |
존 리~30년 주식시장 겪어보니 확실해진 1가지 (존리 대표) 소수뭉키 (0) | 2022.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