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그러면 주식 투자할 때 철학 강조하셨잖아요. 요즘 시장 상황에 대해서도 보면 그런 거 흔들릴 때 많잖아요. 그런데 그 그게 왜 중요한지
존리~그러니까요. 특히 주식에 대해서 얘기하는데 한 굉장히 안타깝게 생각해요 장기라고 장기 투자 장기 투자 얘기하면서도 그 생각은 저쪽에 가 있는 거예요. 아니 내가 얼마 벌었지 얼마 손해봤지 내가 분명히 노후 준비를 위해서 하지만 애들에게는 훨씬 더 투자 기간이 길잖아요. 애들도 30년이 될 수도 있고 사실 그러면 지금 일주일 동안 주식 올라가는 게 무슨 의미가 있죠. 근데 너무너무 신기한 거예요. 그건 철학이 없기 때문에 자기 철학이 분명하지 않은 거예요. 나는 내 노후 자금이 지금도 다 주식에 들어가 있어요. 지금 그리고 매달 코리아 펀드 사요 관심도 없어요.
주식 가격에 정말 관심이 없어요. 나는 다행히 좀 정말로 죄송한 얘기지만 너무나 많이 올라가면은 걱정되나 비싸게 사야 되잖아요. 그래서 우리 애들은 싸게 사야 되잖아 그러니까 진짜 중요한 건 내가 은퇴할 때쯤 돼서 그때 주식 올라가는 게 제일 좋죠 워런버핏도 그랬어요. 10년 20년 동안 돈을 많이 못벌었어요 그런데 그게 이제 나중에 큰 돈이 되는 거야 그 기다림이 필요한데 그런 게 철학이 내가 주식 투자를 왜 하느냐 노후준비이다. 또 내가 앞으로 사람들이 오래 살기 때문에 지금부터 내가 갖고 있는 자금으로 꾸준하게 일을 해야 되겠다. 굉장히 단순한 거예요.
주식에 투자하는 것은 그 기업과 동업하는 거다. 그래서 그 직원들이 내 돈을 굴리기 위해서 훨씬 노력한다는 거야 다 말로는 맞아요. 그렇게 하면 되는데 근데 금방 잊어버리고 주식 가격이 빠지면 화가 나고 원망하고 그러는 거예요. 그 철학이 그때 그러니까 어떻게 되냐 나 주식 안 해 굉장히 잘못된 거지 그런 잘못된 그런 철학이 없기 때문에 주식에 대한 생각도 좋게 생각하지 주식하면 안 된다고 자신한테 얘기하고 그러니까 한국이 지금 이 아 65세 이상의 빈곤율이 세계 최고인 거야 한국에 50% 이상의 빈곤율인 거 아세요.
일본이 20%밖에 안 돼 그리고 왜 그럴까요. 부모의 잘못이에요. 부모가 부모가 그렇게 안 가르켰고 부모 스스로도 그걸 이해 못했기 때문에 자식들 뒷바라지로 다 써버린 거예요. 그럼 다섯 번이 데 그러면 애들은 왜 그런 부자가 안 됐을까요. 부자들은 교육을 안 한 거죠. 그러니까 최악의 교육을 받는 거예요. 지금도 안 변하고 있어요.변해야지 그래서 지금은 당장 시작해야 돼요 당장 시작해야 되고 가능한 한 메달해야 되고 그다음에 단기적인 주식 가격에 초월해야 되고 가능한 한 많이 투자해야 돼요 가능한 한 많이 애들한테 그러니까 쓸데없이 장난감 사주는데 쓸데없는 되는 거 주식에 투자하는 겁니다
'스토리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 리~돈의 황제 '존 리'가 홍진경 딸에게 알려주는 부자 되는 법 (유대인교육,어린이주식) [공부왕찐천재] (0) | 2022.02.22 |
---|---|
존리~2017.04.28토마토인터뷰, 주식투자로 부자 되는 Tomato TV (0) | 2022.02.22 |
존리~코로나 시대 사는 게 힘든 당신을 위한 인문학 렉처 토크쇼! 김경일, 최태성, 존리, 강유정 [TBS 재단창립 2주년 특집, '사피엔스:위대한 대화'] (0) | 2022.02.20 |
존리~kbs 사장님 당나귀 방송 강연 중에서 (0) | 2022.02.20 |
존리~월가의 한국 전문 펀드매니저 존 리 인터뷰 2-3 2010. 12. 9. (0) | 2022.02.20 |